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장재용

軍 사전징후 탐지 못 했다, 대북 정보수집 한계 노출

軍 사전징후 탐지 못 했다, 대북 정보수집 한계 노출
입력 2016-01-06 20:34 | 수정 2016-01-06 21:45
재생목록
    ◀ 앵커 ▶

    군 당국은 지난 국회 국정감사 때, 북 핵실험은 적어도 한 달 전 예측 가능하다고 자신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지진파 관측 뒤에야 사태 파악에 나섰는데요.

    대북감시체계에 허점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장재용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우리 군이 기상청에서 첫 상황을 접수한 것은 핵실험 후 12분이 지난 뒤였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충격을 극대화하기 위해 북한이 과거와 달리 아무런 예고를 하지 않자 사전 징후를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은 지난 2006년 1차부터 2차, 3차 핵실험 때는 미국과 중국에 미리 통보를 했고 우리 정부에도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김정은이 신년사에서도 핵개발 언급을 자제하는 연막전술을 폈습니다.

    또 각종 계측장비 설치나 갱도 입구 봉쇄 같은 조치를 취하지 않아 사전 징후 파악이 더욱 어려웠습니다.

    [이철우/국회 정보위 여당 간사]
    "(북한이) 핵실험을 할 때에는 (시설 주변에) 보초를 세우고 미리 발표도 하고 그러는데 이번에는 보초 서고 이런 것이 없었으니까..."

    그러나 우리 당국의 정세 판단이 안이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정은은 지난해 12월 남북 당국회담 하루 전에 수소폭탄을 거론했는데, 당시 군은 체제 안정용 엄포이며 수사적 표현이라고 일축했습니다.

    오늘 북한의 발표에 따르면 김정은의 핵실험 지시는 바로 이 수소탄 발언 닷새 만에 이뤄졌습니다.

    군 관계자는 오늘 인공 지진이 관측된 뒤 "북한은 언제든지 핵실험을 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춰왔다"고 언급하는 등 당혹스러운 분위기를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MBC뉴스 장재용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