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이슈투데이] 문제의 가습기 살균제도 통과, 'KC마크' 믿을 수 있나

[이슈투데이] 문제의 가습기 살균제도 통과, 'KC마크' 믿을 수 있나
입력 2016-05-19 07:28 | 수정 2016-05-19 08:36
재생목록
    ◀ 박재훈 앵커 ▶

    내가 사는 제품이 과연 안전한지 궁금할 때,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제일 쉬운 방법은 제품에 붙어 있는 'KC마크'를 확인하는 거죠.

    KC 마크는 정부 각 부처가 따로 운영하던 인증제도 19개를 2009년에 하나로 통합한 건데요.

    우리에게 익숙한 KS 마크가 좋은 품질의 국산 제품을 표시하는 거라면, KC 마크는 국산품·수입품 모두 포함해 안전성 실험까지 거쳐서 '이것만 보면 안심하고 살 수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한 해 3만 개 정도의 제품이 KC 인증을 받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에 유통되는 공산품은 거의 다 인증 대상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런데 놀라운 건 문제가 된 가습기 살균제 중에서도 KC마크가 부착된 게 있었다는 점입니다.

    KC마크가 있다고 과연 안심할 수 있느냐, 이런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겠죠.

    실제로 KC마크를 아직 100% 믿지 못하는 분들이 많은데, 이야기를 들어보시죠.

    ◀ 인터뷰 ▶

    [정수지]
    "KC마크는 사실 많이 들어봤고, 지금 마크를 보니까 봤던 기억은 있는 것 같아요. 그런데 정확하게 그게 어느 상품에 어떻게 쓰이는 지는 제가 잘 기억이 안 나는 것 같아요."

    [나영숙]
    "저희 또래들이 손자들을 많이 키우거든요. (KC마크에) 좀 신경 쓰이는데, 믿음이 안 가는 게 제일 문제인 것 같아요."

    [임진현]
    "KC마크라는 제도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가습기 살균제) 사고가 터진 걸 보면, 그 마크의 진정성에 대한 의심이 있는 것 같아요."

    ◀ 박재훈 앵커 ▶

    우리가 쓰는 제품을 살펴보면 KC인증 마크를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요.

    박창현 아나운서, 아무 제품에나 붙일 수는 없을 거고,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죠?

    ◀ 박창현 아나운서 ▶

    가전제품, 자동차 등 3백 개 정도 품목이 적용 대상인데요. 공산품 대부분이 포함됩니다.

    이 제품들을 유통하고 판매하려면 반드시 KC마크 받아야 하는데요.

    제품 출시 전에 정부가 지정한 시험기관에서 제품 검사를 받고요.

    국가기술표준원의 안전 기준을 통과했다는 시험성적서를 제출하면 KC마크를 제품에 붙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인증받은 제품은 20만 개가 넘는데요.

    KC 인증을 받지 못한 제품은 당연히 안전성이 떨어진다고 보면 됩니다.

    사찰 연등에 사용하는 LED 전구를 예로 보시죠.

    ◀ 리포트 ▶

    연등에 사용되는 LED 전구는 불교용품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데, 시중에서 판매되는 전구의 3분의 2가 전기용품안전인증, 즉 'KC인증'을 받지 않은 중국산으로 추정됩니다.

    [불교용품점]
    "인증은 모르겠어요. 오는 거 가져다가 그냥 쓰니까…."

    이런 중국산 미인증 LED 전구가 일반 제품에 비해 얼마나 위험한지 실험으로 알아봤습니다.

    국내기준전압 최대치인 242볼트를 연결하자 미인증 전구가 달린 전선에서 다른 곳보다 3배 높은 전류가 흐릅니다.

    20분 만에 소켓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불꽃이 튀더니, 30분 만에 10개 중 6개의 전구가 꺼집니다.

    한 개는 아예 터져버렸습니다.

    ◀ 박재훈 앵커 ▶

    KC마크가 없는 제품 조심해야 한다는 건 알겠는데, 문제는 KC마크가 있어도 불안하다는 거죠?

    ◀ 박창현 아나운서 ▶

    5년 전, 정부가 뒤늦게 가습기 살균제 여섯 종을 거둬들였을 때 한 제품에는 KC마크가 붙어 있었는데요.

    단순 세정제로 허가를 받았었기 때문입니다.

    KC마크가 안전을 보장해주진 않은 겁니다.

    최근에는 가습기 살균제에 사용된 화학물질과 같은 물질을 사용한 신발용 탈취제가 적발됐는데요.

    역시 KC마크를 획득한 제품이었는데, 지금까지 6백 개 넘게 팔린 상태라고 합니다.

    또, 지난해에는 어린이들이 주로 쓰는 물놀이 제품에서도 기준치 넘는 환경호르몬이 검출됐는데요.

    관련 보도로 확인하시죠.

    ◀ 인터뷰 ▶

    국가기술표준원이 시판 중인 물놀이용품 등 290여 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아동용 수영복 3개와 공기 주입 보트 1개에서 기준치의 최대 178배가 넘는 환경호르몬,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검출됐습니다.

    알레르기성 염료가 나온 수영복도 있습니다.

    끈이 고정되지 않아, 외부에 걸리거나 질식 위험이 있는 수영복도 6개 있었고, 기준치보다 얇아 찢어지기 쉬운 튜브도 있었습니다.

    적발된 제품은 모두 국가 안전기준 KC인증을 통과한 것들입니다.

    [신상훈/국가기술표준원]
    "KC마크를 받고 다 합격된 제품인데, 이후에 기업에서 제품을 만들 때 어느 과정에서 유해물질이라든가 제품의 두께가 얇아져서…."

    ◀ 박재훈 앵커 ▶

    인증을 받았는데도 이런 문제가 있다면 KC마크 왜 있나, 이런 지적 나올 법 합니다.

    '국가통합인증마크'란 이름이 무색해지는데 인증 절차에 문제가 있습니까?

    ◀ 박창현 아나운서 ▶

    인증받은 뒤가 문제인데요.

    제품 출시 전에 실시한 검사에 따라 마크를 발급하는데, 그 뒤에 생산하는 제품은 제조사가 알아서 안전기준을 지켜야 합니다.

    안전한 제품으로 인증을 받았어도 시중에 팔리는 제품은 안전하지 않을 수 있는 거죠.

    검사에서 불합격했는데도 허위로 KC마크를 붙여 파는 일도 있는데요.

    인터넷에서 인증 정보를 검색할 수 있지만 이렇게까지 확인하는 사람은 드물기 때문입니다.

    또, KC마크를 받은 제품이 20만 개가 넘다 보니 현실적으로 단속에 어려움도 있겠죠.

    매년 수백 건씩 리콜 조치를 하고, 위험성이 높은 제품은 2년마다 검사를 하지만요.

    수많은 공산품을 정부가 다 관리하기엔 역부족인 것도 사실입니다.

    ◀ 박재훈 앵커 ▶

    70년대, 80년대 그때는 KS 마크였죠. KS마크 있으면 믿을 만하다, 공신력이 꽤 컸고 믿을만한 사람에게도 붙여서 "그 사람 KS 마크"야 했던 것도 기억이 납니다.

    물론 그때도 이런저런 허점 없진 않았겠죠.

    하지만 현재의 KC마크가 그때만큼의 믿음은 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슈투데이]였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