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조윤정

[집중취재] 식당 점령한 중국산 김치, 위생 논란은 여전

[집중취재] 식당 점령한 중국산 김치, 위생 논란은 여전
입력 2017-03-02 20:31 | 수정 2017-03-02 20:44
재생목록
    ◀ 앵커 ▶

    중국산 김치 수입량이 지난해 25만 톤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어느 정도 양이냐면요.

    우리 국민 5천만 명이 두세 달은 너끈히 먹을 정도의 양입니다.

    식당이나 급식업소는 절반 이상이 이 중국산 김치를 쓰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식당을 점령한 중국산 김치, 조윤정 기자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인천항의 한 냉장창고. 갓 수입된 중국산 김치 상자를 컨테이너에서 내리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이 창고에만 이날 하루 10킬로그램짜리 2천4백 상자가 든 컨테이너 세 개 분량이 입고됐습니다.

    창고 안에는 이미 수십 가지 상표가 붙은 중국산 김치가 가득합니다.

    2~3일 안에 팔려나갈 분량입니다.

    [지종학/냉장창고 팀장]
    "창고가 꽉 찰 정도로 김치가 많이 들어왔었어요. 다른 수입되는 방(창고)까지 김치로 수입되고…."

    중국산 김치는 수입업체와 식품업체 등을 통해 식당과 급식업소 등으로 팔려나가는데 중국 음식점은 90% 이상, 분식이나 김밥 전문점은 70% 정도 쓰는 걸로 파악됩니다.

    가격은 10킬로그램에 8천 원에서 1만 2천 원 선으로 아무리 저렴해도 2만 원이 넘는 국내산 김치의 절반에서 3분의 1 수준.

    [식당 주인]
    "(밥값을) 6천 원, 7천 원 받을 수가 없어요. 국내산 김치를 제대로 담그면 1만 원 이상 받아야 돼. 어쩔 수 없이 쓰는 거죠."

    김치를 많이 쓰는 식당일수록 국내산은 살 엄두를 못 냅니다.

    [삼겹살 식당 주인]
    "한도 없이 먹어요. 김치. 배추김치 갖다 담그면 이게 장사해서 남겠어요? 10원도 안 남아요."

    국내산을 고집하던 식당 중 일부는 지난해 배추값 폭등 탓에 뒤늦게 중국산으로 눈을 돌리기도 했습니다.

    [식당 주인]
    "(배춧값이) 너무 비싸서 한 달에 뭐 100만 원 이상 차이가 나 버리니까 김치 값으로만. 그래서 (김치 담그는 것) 포기요."

    국내산에 비해 여전히 맛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대부분이지만 최근 그 차이가 줄었고 오히려 중국산 김치에 많이 쓰이는 각종 감미료 맛에 손님들이 익숙해졌다는 말도 나옵니다.

    [식당 주인]
    "김치 되게 (아주) 맛있다고 하는 분들도 좀 많이 있고, 숙성만 잘 시키면 되게(아주) 잘 드세요."

    ◀ 앵커 ▶

    중국산 김치 하면, 이랬습니다.

    [뉴스데스크/2005.10.21]
    "상당수의 중국산 김치에서 기생충 알이 검출됐습니다."

    10년도 더 된 일이고, 중국 당국의 검사도 깐깐해져 위생 수준도 많이 나아졌죠.

    하지만 중국산 배추김치는 국산과 달리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해썹 인증이 필수가 아니라 아직 미덥지 않다는 게 업계 얘기입니다.

    원산지를 속여 팔아도 알아채기 어렵습니다.

    단속 현장을 따라가 봤습니다.

    ◀ 리포트 ▶

    김치를 모두 직접 담근다며 국내산으로 표시한 식당.

    [농산물품질관리원 단속반]
    "김치는 어떻게 하세요?"

    [식당 직원]
    "김치는 저희가 다 해요 손수"

    하지만, 단속반이 부엌 뒤편 냉장고에서 중국산 김치를 찾아냅니다.

    [농산물품질관리원 단속반]
    "(중국산 김치를) 왜 따로 이렇게 채소를 넣어가지고 보관하고 있어요? 이거 지금 손님한테 나가는 거 아니에요?"

    그제야 국내산 김치가 떨어질 때만 중국산을 내놓는다고 털어놓습니다.

    [식당 직원]
    "장사가 좀 덜 됐어요. 만약에 장사가 잘됐으면 이게(국내산) 다 나가고 이걸(중국산) 썼을 거예요. 그러니까 예비용으로다가 하는 거예요."

    또 다른 음식점. 직접 산 국산 김치라며 영수증까지 내놓지만 냉장고에선 중국산 김치가 나옵니다.

    [농산물품질관리원 단속반]
    "두루치기 시키면 익은 김치가 있어야 될 거 아니에요. 익히는 건 지금 어디 있어요? 국산 김치?"

    [식당 직원]
    "이거(중국산) 쓴다고 봐야죠."

    지난해 배추김치 원산지를 속여 팔다 적발된 건수만 1천 1백여 건. 전체 단속 건수 중 4분의 1을 넘을 정도로 단골 메뉴입니다.

    하지만, 중국산과 국내산은 눈으로 봐도 차이가 확연합니다.

    주원료인 배추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중국산은 배추의 푸른 잎이나, 무채 등 김칫소가 거의 없고, 색깔이 훨씬 흽니다.

    [농산물품질관리원 단속반]
    "(중국산은) 전체적으로 색깔이 다 비슷하죠. 약간 삭은 느낌 나고…."

    위생 관리도 아직 국내 수준을 못 따라온다는 게 업계 얘기. 김칫국물 속에 모래가 들어 있고 뾰족한 플라스틱 조각에 김치망에 쇠볼트까지 발견됩니다.

    중국산 김치에서 나온 이물질들입니다.

    [김치 유통업체 관계자]
    "제일 힘들어하는 게 수입업자들도 이물질이에요. 오죽하면 김치업자들은 (중국산 김치) 레시피 안에 이물질은 꼭 포함돼 있다(고 말합니다)."

    싼 가격을 무기로 국내 식당을 장악해 가고 있는 중국산 김치. 깐깐한 통관 검사와 국산 김치 경쟁력을 키울 대책 없이는, 조만간 가정용 시장까지 위협해 김치 종주국의 안방을 내 줄 거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조윤정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