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
임명찬
![기자이미지](http://image.imnews.imbc.com/page/include/images/writer_default.png)
[집중 취재] '범죄 사각지대' 새벽 시간 찜질방, 해결책은?
[집중 취재] '범죄 사각지대' 새벽 시간 찜질방, 해결책은?
입력
2017-04-28 22:33
|
수정 2017-04-28 22:34
재생목록
◀ 앵커 ▶
찜질방에서 벌어지는 성범죄, 어제오늘 일이 아닌데 대부분 저항할 수 없는 잠든 이들을 상대로 해 처벌 수위가 높습니다.
절도도 빈번하게 일어나는데요.
해결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임명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서울의 한 찜질방 수면실.
한 남성이 잠든 사람들의 휴대전화를 만져보고는 다시 내려놓습니다.
잠시 뒤 다시 나타난 이 남성은 비싼 휴대폰만 집어들고는 유유히 사라집니다.
찜질방 내 성범죄는 더 큰 문제입니다.
현역 군인이 어린이 3명 등 잠을 자던 여성 6명을 성추행했다 쇠고랑을 차고, 유명 남성 개그맨이 잠든 다른 남성을 상대로 유사 성행위를 하다 덜미가 잡히기도 했습니다.
[찜질방 이용 여성]
"화가 나죠. 딸이 될 수도 있는 거고 내가 될 수도 있는 건데…. 될 수 있으면 사실은 딸들은 찜질방에서 잠을 못자게 하는 편이에요."
찜질방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일어나는 성범죄는 해마다 2천 건 이상.
잠에 들어 저항할 수 없는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한 범행이 대부분인데 상대적으로 처벌 수위가 강한 '준강제추행죄'가 적용됩니다.
[김동현/변호사]
"타인이 수면 중이거나 의식이 없는 상태를 이용해 추행하는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백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는 중한 범죄입니다."
찜질방 범죄는 인적이 드물고 직원 감시가 소홀한 새벽 시간에 주로 발생합니다.
어두운 내부 조명 때문에 CCTV도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음주 상태에서 출입이 자유롭다는 점도 범죄를 부추기는 원인입니다.
[이수정/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일단 피해자들이 의식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신고의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 결국에는 가해자들한테는 도덕적 해이를 불러오는 측면이 있죠."
찜질방 내 범행을 막기 위해서는 잠을 잘 때 반드시 일행과 함께하고, 고가의 소지품은 휴대하지 말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MBC뉴스 임명찬입니다.
찜질방에서 벌어지는 성범죄, 어제오늘 일이 아닌데 대부분 저항할 수 없는 잠든 이들을 상대로 해 처벌 수위가 높습니다.
절도도 빈번하게 일어나는데요.
해결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임명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서울의 한 찜질방 수면실.
한 남성이 잠든 사람들의 휴대전화를 만져보고는 다시 내려놓습니다.
잠시 뒤 다시 나타난 이 남성은 비싼 휴대폰만 집어들고는 유유히 사라집니다.
찜질방 내 성범죄는 더 큰 문제입니다.
현역 군인이 어린이 3명 등 잠을 자던 여성 6명을 성추행했다 쇠고랑을 차고, 유명 남성 개그맨이 잠든 다른 남성을 상대로 유사 성행위를 하다 덜미가 잡히기도 했습니다.
[찜질방 이용 여성]
"화가 나죠. 딸이 될 수도 있는 거고 내가 될 수도 있는 건데…. 될 수 있으면 사실은 딸들은 찜질방에서 잠을 못자게 하는 편이에요."
찜질방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일어나는 성범죄는 해마다 2천 건 이상.
잠에 들어 저항할 수 없는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한 범행이 대부분인데 상대적으로 처벌 수위가 강한 '준강제추행죄'가 적용됩니다.
[김동현/변호사]
"타인이 수면 중이거나 의식이 없는 상태를 이용해 추행하는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백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는 중한 범죄입니다."
찜질방 범죄는 인적이 드물고 직원 감시가 소홀한 새벽 시간에 주로 발생합니다.
어두운 내부 조명 때문에 CCTV도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음주 상태에서 출입이 자유롭다는 점도 범죄를 부추기는 원인입니다.
[이수정/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일단 피해자들이 의식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신고의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 결국에는 가해자들한테는 도덕적 해이를 불러오는 측면이 있죠."
찜질방 내 범행을 막기 위해서는 잠을 잘 때 반드시 일행과 함께하고, 고가의 소지품은 휴대하지 말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MBC뉴스 임명찬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