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
한수연

3살에 신청하면 5살 돼서야…"아이돌보미 늘린다"
3살에 신청하면 5살 돼서야…"아이돌보미 늘린다"
입력
2018-08-31 22:32
|
수정 2018-08-31 22:39
재생목록
◀ 앵커 ▶
일하는 엄마, 아빠를 대신해 정부가 예산 들여서 집으로 돌보미를 보내주는 아이 돌봄 서비스가 있습니다.
엄마들은 이 서비스 신청하면 길게는 2년 넘게 기다려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돌보미들은 정반대로 일을 달라고 해도 없다는 답을 듣는다고 합니다.
대체 어찌 된 일인지 한수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아이돌보미 배민주씨의 업무는 아이를 어린이집에 데려다 주는 것부터 시작해 부모님이 퇴근하는 6시쯤 끝납니다.
아이들 엄마는 돌봄 서비스를 신청한 지 2년여 만에 배씨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돌봄 서비스 신청자]
"(아이돌봄 신청하고) 30개월? 2년 넘었던 것 같아요."
인터넷에는 돌봄 서비스를 신청한 지 몇 달이 지나도 감감무소식이란 하소연이 넘쳐납니다.
[아이돌봄 관리 센터]
"대기 순번 100번이 넘어가고 있어서 6개월 이상 생각해주셔야 해요."
하지만 돌보미들의 말은 정반대입니다.
[배민주/아이돌보미 (경력 6년)]
"센터에다 우리가 '일을 달라' 얘기하면 왜 '일이 없다' 얘기하는지 모르겠다…."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
지난 10년간 정부가 양성한 아이돌보미는 3만 6천 명.
하지만 정작 활동 중인 도우미는 2만 1천여 명에 불과합니다.
아이돌보미 수요가 집중된 출퇴근 시간대에만 일하면 소득이 턱없이 낮은데다, 이 자리마저도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연간 600시간이 채워지면 수요가 뚝 끊기기 때문입니다.
[정 모 씨/아이돌보미 (경력 6년)]
"낮일은 전혀 없는 거예요. 아이돌보미가. 궁리 끝에 요양보호사를 (함께) 하게 됐어요."
게다가 신청자와 돌보미들을 연결하는 통합 시스템도 없어 수급 불균형을 부채질하고 있습니다.
[정진우/인제대 공공인재학부 교수]
"수요를 정확히 예측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안을 세우고…. 무작정 늘릴 수는 없는 거죠."
여성가족부는 아이돌보미 1만 명을 추가로 양성하고, 처우 개선을 위해 시급도 600백 원 인상했습니다.
혜택 가구도 늘려 수요와 공급을 맞추겠다는 계획이지만, 이미 양성한 돌보미들의 이탈조차 막지 못하는 상황에서, 숫자만 늘린 탁상 행정이 되진 않을까 우려됩니다.
MBC뉴스 한수연입니다.
일하는 엄마, 아빠를 대신해 정부가 예산 들여서 집으로 돌보미를 보내주는 아이 돌봄 서비스가 있습니다.
엄마들은 이 서비스 신청하면 길게는 2년 넘게 기다려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돌보미들은 정반대로 일을 달라고 해도 없다는 답을 듣는다고 합니다.
대체 어찌 된 일인지 한수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아이돌보미 배민주씨의 업무는 아이를 어린이집에 데려다 주는 것부터 시작해 부모님이 퇴근하는 6시쯤 끝납니다.
아이들 엄마는 돌봄 서비스를 신청한 지 2년여 만에 배씨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돌봄 서비스 신청자]
"(아이돌봄 신청하고) 30개월? 2년 넘었던 것 같아요."
인터넷에는 돌봄 서비스를 신청한 지 몇 달이 지나도 감감무소식이란 하소연이 넘쳐납니다.
[아이돌봄 관리 센터]
"대기 순번 100번이 넘어가고 있어서 6개월 이상 생각해주셔야 해요."
하지만 돌보미들의 말은 정반대입니다.
[배민주/아이돌보미 (경력 6년)]
"센터에다 우리가 '일을 달라' 얘기하면 왜 '일이 없다' 얘기하는지 모르겠다…."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
지난 10년간 정부가 양성한 아이돌보미는 3만 6천 명.
하지만 정작 활동 중인 도우미는 2만 1천여 명에 불과합니다.
아이돌보미 수요가 집중된 출퇴근 시간대에만 일하면 소득이 턱없이 낮은데다, 이 자리마저도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연간 600시간이 채워지면 수요가 뚝 끊기기 때문입니다.
[정 모 씨/아이돌보미 (경력 6년)]
"낮일은 전혀 없는 거예요. 아이돌보미가. 궁리 끝에 요양보호사를 (함께) 하게 됐어요."
게다가 신청자와 돌보미들을 연결하는 통합 시스템도 없어 수급 불균형을 부채질하고 있습니다.
[정진우/인제대 공공인재학부 교수]
"수요를 정확히 예측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안을 세우고…. 무작정 늘릴 수는 없는 거죠."
여성가족부는 아이돌보미 1만 명을 추가로 양성하고, 처우 개선을 위해 시급도 600백 원 인상했습니다.
혜택 가구도 늘려 수요와 공급을 맞추겠다는 계획이지만, 이미 양성한 돌보미들의 이탈조차 막지 못하는 상황에서, 숫자만 늘린 탁상 행정이 되진 않을까 우려됩니다.
MBC뉴스 한수연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