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
박소희

경찰청장 '외압' 사실상 시인…"휘둘리진 않았다"
경찰청장 '외압' 사실상 시인…"휘둘리진 않았다"
입력
2019-04-02 19:42
|
수정 2019-04-02 19:45
재생목록
◀ 앵커 ▶
민갑룡 경찰청장이 오늘 국회에 출석해서 김학의 성범죄 수사 당시, 윗선의 외압이 있었음을 사실상 인정했습니다.
경찰청 장이 외압을 인정한 건 처음으로 이번 재수사에서 진상을 규명해달라고 말했습니다.
박소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비공개로 진행된 국회 정보위원회에 출석한 민갑룡 경찰청장.
민 청장은 "김학의 전 차관 수사 당시 여러 곳에서 전화가 와 수사팀이 곤혹스러웠했다"고 말했다고 이혜훈 정보위원장이 밝혔습니다.
[이혜훈/국회 정보위원장]
"민정수석실이다 정무수석실이다 밝히지는 않았어요. 근데 전화를 받고 곤혹스럽다 그러면서 대충 짐작되는 상황으로 이야기했어요."
민 청장은 "하지만 수사팀이 외압에 휘둘리진 않았다"며 이번 김학의 성범죄 재수사에서 외압 여부를 규명해달라고 말했습니다.
경찰청장이 윗선의 외압 사실을 공식 인정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김학의 동영상' 청와대 보고 논란에 대해서도 명확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경찰 내부 전산망에 내사 사건을 공식 접수한 게 2013년 3월 18일.
따라서 그 이전에 청와대에서 "내사 착수 여부를 물었을 때는 "아니"라고 답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겁니다.
하지만 두 달여 전인 2013년 1월부터 성범죄 동영상과 관련한 범죄 첩보를 입수해 청와대에 분명히 보고했다고 밝혔습니다.
[이혜훈/국회 정보위원장]
"(민갑룡 경찰청장이) 어쨌든 당시로서는 자기들 첩보로 범죄정보를 수집하던 상태인 건 맞았고, 그 얘기를 분명히했다 이렇게 얘기를 해요."
민 청장은 김학의 수사팀이 정식으로 동영상을 입수한 건 2013년 3월 19일이지만, 범죄 첩보 수집 단계에서 동영상을 확보해 청와대에 보고했는 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또 민주평화당 박지원 의원에게 경찰 고위관계자가 동영상을 전달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모르는 일"이라고 답했습니다.
MBC뉴스 박소희입니다.
민갑룡 경찰청장이 오늘 국회에 출석해서 김학의 성범죄 수사 당시, 윗선의 외압이 있었음을 사실상 인정했습니다.
경찰청 장이 외압을 인정한 건 처음으로 이번 재수사에서 진상을 규명해달라고 말했습니다.
박소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비공개로 진행된 국회 정보위원회에 출석한 민갑룡 경찰청장.
민 청장은 "김학의 전 차관 수사 당시 여러 곳에서 전화가 와 수사팀이 곤혹스러웠했다"고 말했다고 이혜훈 정보위원장이 밝혔습니다.
[이혜훈/국회 정보위원장]
"민정수석실이다 정무수석실이다 밝히지는 않았어요. 근데 전화를 받고 곤혹스럽다 그러면서 대충 짐작되는 상황으로 이야기했어요."
민 청장은 "하지만 수사팀이 외압에 휘둘리진 않았다"며 이번 김학의 성범죄 재수사에서 외압 여부를 규명해달라고 말했습니다.
경찰청장이 윗선의 외압 사실을 공식 인정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김학의 동영상' 청와대 보고 논란에 대해서도 명확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경찰 내부 전산망에 내사 사건을 공식 접수한 게 2013년 3월 18일.
따라서 그 이전에 청와대에서 "내사 착수 여부를 물었을 때는 "아니"라고 답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겁니다.
하지만 두 달여 전인 2013년 1월부터 성범죄 동영상과 관련한 범죄 첩보를 입수해 청와대에 분명히 보고했다고 밝혔습니다.
[이혜훈/국회 정보위원장]
"(민갑룡 경찰청장이) 어쨌든 당시로서는 자기들 첩보로 범죄정보를 수집하던 상태인 건 맞았고, 그 얘기를 분명히했다 이렇게 얘기를 해요."
민 청장은 김학의 수사팀이 정식으로 동영상을 입수한 건 2013년 3월 19일이지만, 범죄 첩보 수집 단계에서 동영상을 확보해 청와대에 보고했는 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또 민주평화당 박지원 의원에게 경찰 고위관계자가 동영상을 전달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모르는 일"이라고 답했습니다.
MBC뉴스 박소희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