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임영서

때로는 '외면' 때로는 '졸속'…정부는 과연?

때로는 '외면' 때로는 '졸속'…정부는 과연?
입력 2019-04-03 20:16 | 수정 2019-04-03 22:32
재생목록
    ◀ 앵커 ▶

    해방된지 74년, 위안부 피해자가 세상에 처음 나선 지도 30년 정도 지났습니다.

    그럼 이 긴 시간 동안, 역대 우리 정부는 이 분들을 위해 무엇을 해왔을까요?

    지금이라도 반성해야할 정부의 안이했던 역할을 임영서 사회에디터가 지적하겠습니다.

    ◀ 리포트 ▶

    28년 전인 1991년.

    고 김학순 할머니가 내가 바로 위안부였다고 나서기 전까지, 일본에서는 물론 한국에서조차 위안부 피해자는 감춰진 존재였습니다.

    해방된지 반세기 가까이 지났음에도 피해자로 위로받기는커녕 숨어지내야 했던 시대, 대한민국은 그런 상황이었습니다.

    1965년 한일협정에서 위안부 문제를 따지지 않은 이유에 대해, 이 문제를 몰랐던 것도 일본의 잘못을 덮어주자는 것도 아니었다, 그들의 상처를 꺼내는 것은 2중 3중의 고통을 안겨주는 일이었기 때문이라고, 당시 협상책임자 고 김종필 전 총리는 회고했습니다.

    과연 이것이 진정 피해자에 대한 배려였는지 아니면 우리사회의 집단적 외면이었는지 되돌아보고 솔직하게 성찰해야합니다.

    오랜세월 묻어오다 피해자가 등장하자 뒤늦게 문제로 인식한 우리정부는 일본을 상대로 한 항의, 그리고 일본과의 외교문제로만 집중해 다뤄왔습니다.

    그 결과, 2011년 우리정부가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역할을 못했다는 헌재 결정이 나오고 2015년에는 불가역적이란 난감한 표현이 들어간, 피해자가 빠진 타결로 큰 혼란을 낳았습니다.

    [김득중/국사편찬위원회]
    "일본정부의 위안부 문서 분석 수준은 대단히 높아요. 한국보다 훨씬 높습니다. 한국은 열성과 분노는 강한데 문서분석은 별로 안해요."

    이 모든게 역사적 엄숙함보다 때로는 외면하고 때로는 서둘러 처리하고싶은 현안으로만 바라봤기 때문입니다.

    일본군경과 모집업자 상당수가 생존해있던 그 오랜 세월, 진실 규명을 위해 무엇을 했는지 의문입니다.

    이제라도 누구에게 묻고 무엇을 기록하고 어떤걸 남겨야할지 앞장설 주체는 우리 정부입니다.

    MBC뉴스 임영서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