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930MBC뉴스
기자이미지 김미희

막 버리는 마스크…"돌고 돌아 우리 식탁으로"

막 버리는 마스크…"돌고 돌아 우리 식탁으로"
입력 2020-07-21 09:43 | 수정 2020-07-21 10:19
재생목록
    ◀ 앵커 ▶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전 세계에서 한 번 쓰고 버리는 마스크가 한 달 평균 천억 장이 넘는다고 하는데요.

    이 버려진 마스크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김미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코로나19에도 여름 바다는 피서객들로 꽉 찼습니다.

    해변을 찾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날수록 버려진 마스크도 함께 늘어나고 있습니다.

    물에 젖은 채 해안가를 나뒹굴고 모래 깊숙히 파묻힌 마스크도 있습니다.

    나뭇가지에도 대롱대롱 매달려 있습니다.

    해수욕장에서 마스크 착용을 권하고 있지만 몰래 버리는 것까지 단속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해수욕장 관계자]
    "단속하니까 (마스크)쓰고 들어가 가지고 또 물속에 들어가다보면 젖으니까 버리시는 것 같아요."

    마스크에 사용되는 부직포는 생수 뚜껑과 같은 재질인 폴리프로필렌, 플라스틱입니다.

    플라스틱은 분리수거가 원칙이지만, 현행법상 마스크는 일반 쓰레기로 분류돼 종량제 봉투에 담아 그대로 버릴 수 있습니다.

    마스크는 땅에 묻혀도 수백 년 동안 썩지 않고, 바다로 흘러 들어가면 미세 플라스틱으로 분해됩니다.

    이미 프랑스와 홍콩 바다 속에선 미세 플라스틱이 되고 있는 마스크가 잇따라 발견되고 있습니다.

    [김미선/예산·홍성환경운동연합 활동가]
    "태워져서 미세먼지가 되거나 아니면 분해돼서 미세 플라스틱이 되거나…인간뿐 아니라 모든 생태계가 그것을 먹이로 먹게 될 수 밖에 없는 상태가 될 거고…"

    함부로 버린 마스크가 결국 돌고 돌아 우리 식탁에 올라오는 셈입니다.

    한번 사용된 마스크는 감염 우려가 있고, 재활용도 불가능한 만큼 별도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승구/충남대 유기재료공학과 교수]
    "소각에 대한 방법들이 요즘 이야기가 되고 있는데요. 연료처럼 사용되면서 그 안에서 고온으로 분해가 되면 독성 가스 발생이 적은 형태로 오염이 거의 없는 방법으로 분해를 시킬 수가…"

    코로나19 발생 이후 우리나라 국민이 사용한 마스크는 한 달 최대 6천만 장.

    전 세계적으로는 한 달에 평균 1,290억 장이 버려지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MBC뉴스 김미희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