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한수연

한계 부딪친 '접촉자 역학조사'…"신고 받아야"

한계 부딪친 '접촉자 역학조사'…"신고 받아야"
입력 2020-02-02 20:34 | 수정 2020-02-02 20:36
재생목록
    ◀ 앵커 ▶

    현재 보건당국은 확진자가 발생하면, 동선을 파악해 이동 과정 중의 접촉자를 파악하는, 그러니까 동선을 역추적하는 역학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확진자 수가 10명이 넘어선 지금, 이렇게 하나하나 CCTV를 봐가면서 접촉자를 확인하는, 역학조사 방식은 한계에 도달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한수연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지금까지 보건당국이 발표한 확진자들의 접촉자는 모두 683명입니다.

    하지만 오늘 추가된 확진자들은 아직 역학 조사가 진행 중인데다 앞서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들의 경우도 접촉자 수가 연일 추가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확진자와 접촉자 수가 크게 늘면서 지금의 역학조사 방법은 한계에 부딪혔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현재 보건당국은 확진자들의 동선을 역추적해 cctv 등을 보며 역학조사관이 재량껏 판단해 접촉자들을 선별하고 있습니다.

    [곽진/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환자관리팀장]
    "저희 나름대로 판단기준을 세워서 현장에서 판단할 수 있는 근거들을 최대한 모아서 어느 정도 가까이 있었느냐, 또는 열린 공간이냐 폐쇄된 공간이냐…"

    현재 역학조사관은 모두 130명.

    확진자가 늘어날 수록 지금처럼 확진자는 물론 그 접촉자들의 동선을 일일이 파악하기엔 역부족이란 겁니다.

    [최재욱 /고려대 예방의학과교실 교수]
    "기준을 빨리 넓게 잡고 '이런 곳에 다녀오신 분이 이런 증상이 있으시면 빨리 신고해 주세요' 라고 신고를 하고 검사에 들어오게 해야지, 이걸 일일이 다 찾아갈 수 없잖아요."

    당국이 명확한 접촉자 파악 기준을 공개해 해당 시간, 해당 동선 안에 있었던 사람들이 직접 신고하는 방법이 대안으로 떠오릅니다.

    이렇게 자발적으로 검사를 받도록 해야 뚫리기 시작한 방역의 구멍을 막을 수 있단 겁니다.

    또, 접촉자 선정 기준을 '증상 발현 이후'로 한정한 것도 바꿔야한다는 지적입니다.

    [최재욱/고려대 예방의학과교실 교수]
    "(WHO 기준은) 1미터 이내에 접촉한 확진환자와 접촉한 사람, 증상이 발열한 시점부터 접촉한 사람이 아니고 증상이 발현하기 전 24시간 전부터 접촉한 사람 포함해서 다 확진검사하라 (되어 있어요.)"

    실제 3번째 확진자와 식사한 6번째 환자는 증상이 나타나기 1시간여 전에 만나 보건당국의 관리 대상에서 제외됐다가, 3번째 환자의 증상 발현 시점이 수정되면서 뒤늦게 접촉자로 포함됐습니다.

    WHO처럼 접촉자 기준을 증세가 나타나기 24시간 전으로 설정했더라면 6번째 환자에게 감염된 10번째, 11번째 환자는 사전에 막을 수 있었던 겁니다.

    정부는 민간 조사관을 추가로 확보해 부족한 역학 조사 인력을 메우겠다고 했지만, 의료계의 지적대로 접촉자 기준을 확대하거나 선정 기준을 공개하는 방안과 관련해서는 아직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MBC뉴스 한수연입니다.

    (영상취재 : 권혁용 / 영상편집 : 유다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