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한때는 이슈에 대한 토론과 소통의 수단으로 역할했던 댓글이 이제는 여론 조작의 도구로 악용되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대책은 없는 지 정진욱 기자에게 몇 가지 질문 더 해보겠습니다.
정 기자, '댓글 부대' 말이 있을 정도로 이 문제, 어제 오늘 얘기가 아니잖아요.
개선되지 않는 건 그 만한 이유가 있다고 봐야죠?
◀ 기자 ▶
네, 사실 악플로 목숨을 끊는 연예인들도 많았고, 국가 정보기관이 댓글 부대를 운영한 사건도 있었습니다.
댓글이 문제가 많은데도 잘 해결되지 않는 건, 우선 포털의 수익 구조 때문입니다.
네이버의 가장 큰 수익은 광고입니다.
광고로 돈을 벌려면 사람들이 포털에 오래 머물게 해야 하는데, 기사만 읽는 것보다 댓글을 읽을 때 머무는 시간이 길어집니다.
[이택광/경희대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광고를 포기할 수 없는 거죠. 실시간 검색어 이런 것도 문제제기를 많이 했지만 이제 그걸 포기할 수가 없는 겁니다."
◀ 앵커 ▶
다른 나라들은 어떻습니까?
◀ 기자 ▶
뉴스 소비 환경이 많이 다릅니다.
한국이 좀 독특한데요.
뉴스 소비를 언론사들 홈페이지가 아니라 네이버 같은 포털이 독점하고 있습니다.
뉴스 소비가 포털에 집중되니까, 댓글을 이용한 여론 조작에 더 취약한 겁니다.
물론 다른 나라들도 특히 정치 뉴스 댓글의 편향성은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댓글을 아예 못달게 하는 언론사들도 많습니다.
뉴욕타임스는 건강한 토론이 가능한 기사 10%만 골라 댓글을 허용하고 있고, 영국 BBC는 댓글을 없애고 게시판으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인종차별같은 악플을 아예 원천 봉쇄하고 있습니다.
◀ 앵커 ▶
해법이 나올 수 있을까요?
◀ 기자 ▶
포털들도 노력은 하고 있습니다.
연예뉴스 댓글을 없앴고, 댓글 이력을 공개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더 강한 책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택광/경희대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네이버가 규제하고 차별 표현이라든가 혐오적 표현이 왜 잘못됐는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명백하게 준다면, 10대들이나 이런 사람들에 상당히 큰 영향을 줄 수가 있죠."
포털의 영향력만큼 책임도 질 수 있도록 사회적 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 앵커 ▶
지금까지 미래 산업팀 정진욱 기자였습니다.
뉴스데스크
정진욱
편향된 여론·조작 우려에도…댓글 놔두는 이유는
편향된 여론·조작 우려에도…댓글 놔두는 이유는
입력
2020-04-09 20:16
|
수정 2020-04-09 20:17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