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김세진

"정부 믿고 전 재산 묻었는데"…이제는 '나 몰라라?'

"정부 믿고 전 재산 묻었는데"…이제는 '나 몰라라?'
입력 2020-09-17 20:33 | 수정 2020-09-17 20:36
재생목록
    ◀ 앵커 ▶

    우리나라에서 아프리카 돼지 열병이 처음 발생한지 1년이 지났습니다.

    당시 걷잡을 수 없이 퍼지는 걸 막기위해서 260곳이 넘는 수도권 농가에서 15만 마리의 돼지들을 살 처분 했는데요.

    당시 정부는 농가에 협조를 요청하면서 재기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 하겠다.

    이렇게 약속을 했습니다.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김세진 기자가 점검해 봤습니다.

    ◀ 리포트 ▶

    1년전 4천마리를 살처분 했던 김포의 한 돼지농가를 찾았습니다.

    녹이 슨 채 텅빈 돈사는 최근 잇따른 태풍에 곳곳이 부서진 상태.

    수 억원을 들여 만든 새끼양육장은 써보지도 못하고 방치돼 있습니다.

    함께 일하던 직원 3명은 월급을 못 줘 떠난 지 오래…

    당시 4천마리 살처분 비용으로 20억원을 받았지만, 시설비와 돼지 구입비, 사료비 등 빚을 갚고 나니 끝이었다고 합니다.

    정부에서 주는 한달 60여만원 생활 안정자금으로 겨우 버텼지만, 그것도 6개월만에 끊겼고 지금은 돈사를 해체해 나온 철근을 고물로 팔아 생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김포 살처분 돼지농가]
    "당장 카드값 낼 돈도 없기 때문에, 생활비도 없고 하니까 이거라도 팔자 해가지고…"

    다음 달부터 방역 조건을 지키면 다시 돼지를 키울 수 있다는 통보를 받았지만, 김씨는 아버지로부터 40년간 이어온 돼지 농장을 폐업하기로 했습니다.

    방역시설을 갖추고 어미 돼지를 사는데 또 큰 돈이 드는데다 1년 뒤 돼지를 출하할때까지 운영 자금을 감당할 방법도 없기 때문입니다.

    [김포 살처분 돼지농가]
    "어거지로 해도 운영할 수 있는 자금이 없어요. 운영하다가 부도맞을 수 도 있고."

    정부는 살처분에 협조하면 재기자금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지만, 농가들에게는 '그림의 떡'일 뿐입니다.

    담보가 있어야만 대출을 해주는데, 대부분 농가들이 이미 더 이상 잡힐 담보가 없을 만큼 많은 빚을 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261개 살처분 농가들의 평균 부채는 10억원, 지금까지 경영난으로 폐업을 신청한 농가가 70곳에 이릅니다.

    [김포 살처분 돼지농가]
    "정부에서 지원금이 나온다고 하는데, 그것도 담보가 있어야 되겠죠. 담보가 없으면 받을 수가 없어요 그것도."

    다시 돼지 사육에 나서려는 농가들도 어렵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살처분한 2천마리를 농장에 묻을 수 밖에 없었던 경기도 연천의 돼지농장.

    당시의 급박함을 보여주듯 바닥에 뿌린 생석회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정부로부터 돼지 사육을 재개해도 좋다는 지침을 받았지만, 정작 농장 안에 묻은 돼지 사체를 어떻게 처리하겠다는 연락은 없었습니다.

    자칫 돼지사체를 옆에 두고 새 돼지를 키워야 할 판입니다.

    [류두영/돼지농가 운영]
    "웃긴거죠. (입식방역) 매뉴얼보면 깨끗한 환경을 조성한 후에 재입식 하도록 되어 있는데…"

    황당한 것은 또 있습니다.

    1년 동안 축사 지붕이 무너지고 쇠기둥은 녹슬고 부러져, 수리를 해야만 하는데도, 개축을 제한하고 있는 건축법상 허용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류두영/돼지농가 운영]
    "제가 사비를 내서 빚을 내서 하겠다고 해도 건축행위에 제한 있으니 안됩니다는 답변만…"

    아프리카 돼지열병 발병 1년, 당시 원인도 모른 채 급격하게 퍼지던 돼지열병을 막을 수 있던 것은 신속한 방역만큼이나, 큰 손해에도 불구하고 예방적 살처분을 받아들인 농가들의 희생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들의 재기를 위해 정부가 당시 약속했던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 지 다시 점검해 봐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MBC뉴스 김세진입니다.

    (영상취재 : 윤병순 / 영상편집 : 문명배)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