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염규현,남형석

[로드맨] '여기선 아프면 안 돼요' 응급실 없는 도시

[로드맨] '여기선 아프면 안 돼요' 응급실 없는 도시
입력 2020-09-19 20:28 | 수정 2020-09-19 20:31
재생목록
    전라남도 영암군에 도착했습니다. 영암하면 떠오르는 게 바로 F1. F1 경기장 떠오르는데요.

    (F1 경기장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의 도시, 영암 / 월출산이 감싸안은 아름다운 마을)

    이 스피드의 도시 영암에 정작 스피드를 못 내고 있는 분야가 하나 있다는데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직접 가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차를 타고 영암 읍내로 진입)

    "사람들의 인권 중의 하나가 치료받을 권리인데 왜 시골 산다고 그게 없어야 합니까."

    [로드맨]
    영암에서 얼마 전에 병원에 못 가서 열사병으로 사망한 분이 계시다는 얘기를 듣고...

    ('응급실 없어서 열사병으로 사망' 진실일까? / 지역신문 기자에게 물어보니...)

    [이승범/영암군민신문 기자]
    "<열사병 환자인데 응급실에 못 가서 돌아가셨다는데?> 기사 내용을 확인해보진 않았는데, 있을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고 생각하고 있거든요."

    (지역 기자도 금시초문 / 그러나 '가짜 현실'은 아니다?)

    [이승범/영암군민신문 기자]
    "일단 영암 군내 응급실 운영이 멈춘 지가 2년 넘은 걸로 알고 있거든요. 119를 불렀을 때도 영암에선 응급처치는 될 수가 없는 상황이고."

    (응급실이 문 닫았다는 병원에 가보니...)

    이곳이 영암에서 가장 큰 병원인데요. 지금은 이곳 응급실이 운영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 응급실 글자가 지워진 모습 보실 수가 있거든요.

    [김정심/병원 인근 편의점 운영]
    "이사 온 지 20년 됐거든요. (그때는) 응급실도 있었고 일반 병실에도 사람들이 많이 있어서 저야 매출에 많은 영향이 있죠. 근데 지금은 거의 없어서 오전에는 문 안 열어요. 그냥 밭에 가요, 밭에."

    응급실 없는 도시가 된 영암. 주민들 얘기를 들어봤습니다.

    (도시에서 보기 힘든 이동목욕차)

    [김힐링/영암 이동목욕차 운영]
    "<성함이?> 이름은 말 안 하고 싶고요. <성이라도 알려주시면…> 힐링 힐링!"

    [로드맨]
    "목욕차가 오는 이유가 있을까요?"

    [김힐링/영암 이동목욕차 운영]
    "어르신들이 다 본인 몸도 제대로 씻지 못하시니까."

    [로드맨]
    "영암에 병원(응급실)이 없다고 해서 왔어요."

    [김힐링/영암 이동목욕차 운영]
    "그러니까 위급 상황 생기면 119 불러서 목포나 나주 쪽으로 가야 해요. <지금 고령 어르신들 많이 뵈었잖아요?> 갑자기 야간에 아플 경우에는 별다른 방법이 사실 영암에는 없어요. 소아과도 없어요 영암은."

    (옆 동네주민 얘기를 들으러...)

    [복윤자/영암군민]
    "어지럼증 났는데 중환자실이 없다고, (병원에) 전화해보니까 응급실이 없다고 해서 보건소로 가서 응급조치만 하고 갔어요. 보건소는 응급조치만 하지 계속 '거시기' 할 수가 없잖아요. <보건소는 거시기 안 되죠?>"

    [윤희대/영암군민]
    "<고향이 이렇게 변해가는 모습을 쭉 보셨잖아요?> 아, 슬픈데… 옛날엔 바글바글했죠. 진짜 멋있던 세상들. 사람 빠져나가고 살기가 힘드니까 빠져나갈 수밖에. 벌어먹고 살기를 어떻게 여기서 버티고 살겠어요."

    ==================

    [팩트맨1]
    영암군민들, 앞으로가 더 문제입니다. 주변 도시들의 병원도 없어지고 있거든요. 지난해에는 전남 고흥군의 한 병원(윤호21)이 응급실 운영을 포기했고요, 인근 나주에 있는 병원 한 곳(영산포제일병원)도 응급의료기관 지정이 취소돼버렸습니다.

    지방 도시는 노인이 많다 보니까 아무래도 응급 상황이 더 많을 텐데요. 영암을 비롯해서 전국 19개 군에는 아예 응급실이 없습니다. 제때 치료했다면 살릴 수 있었던 응급환자의 비율도 서울보다 지방이 최대 3배 이상 높아졌습니다.

    그렇다면 그나마 영암에 남아있는 병원들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을까요?

    ==================

    [로드맨]
    지금 당직 의료기관이라고 써 있고요. 불이 켜져 있거든요?

    (야간 당직을 하는 병원이 있다?)

    지금 밤샘 야간진료를 하는 보건소라고 합니다. 여기 벨을 눌러야 하는구나.

    [로드맨]
    "저도 동네 보건소를 이용한 적이 있지만 저녁때는 안 하거든요?"

    [최문형/영암군 보건소 건강증진팀장]
    "응급의료를 실시하는 곳이 없기 때문에 저희가 주민 보호 차원에서 평일에는 6시부터 익일 9시까지. <쉽게 말해서 지금 영암에 여기가 응급실인 거네요?> 네, 그렇습니다."

    (하나둘씩 찾아오는 응급환자들)

    [한충오/영암군민]
    "배가 좀 아파서 왔는데요."
    "<아프세요?> 거기 가운데 눌렀을 때 아파요."

    (이번엔 아이와 함께 찾아온 엄마)

    [김현정/영암군민]
    "애가 갑자기 토하고 해서 놀라서 왔어요. 이 시간에 병원 문 연 데도 없는데 여기라도 있어서 그나마. <응급실이 없어지니까 뭐가 제일 불편하다고 해야 할까요?> 일단 애 아플 때 안심하고 갈 수 있는 병원이 없다는 게 그렇죠. <만약에 여기에도 불이 꺼진다고 하면 어떻게 될까요?> 아프더라도 놔뒀다 아침에 가든지 해야죠. <그 말 너무 가슴 아프다.>"

    [김미나/영암군 보건소 간호사]
    "주말에는 거의 스무 분에서 스물다섯 분 정도 오시고. <서울은 병원이 남는다는데?> 여기는 응급실이 일단 문을 열어야 하지 않나. 최소한은."

    [로드맨]
    영암 토박이 주민분께서 지금 영암 전체에 병원이 네다섯 개 된다고 말씀해주셨거든요. 그래서 저희가 그중에서도 오래된 병원 한번 가보려고 합니다.

    [병원 진료실]
    "요즘은 어지럽거나 답답하진 않으세요? <어지럽고 그런 건 없어요.> 피곤하셨어요? 오늘 혈압이 조금. <아니, 나는 잠도 잘 자고 잘 먹는디?>"

    [로드맨]
    "무슨 연예인인 줄 알았어요. (주민들이) 병원 얘기하면 김승관, 김승관 하시기에. 몇 년이 된 거죠?"

    [김승관/영암 지역 내과의]
    "29년이 됐죠. <응급의료의 문제가 있다는 얘기를 좀 들었거든요?> 영암뿐만이 아니라 다 마찬가지일 겁니다. 응급실 운영하려면 어느 정도 인력이라든가 시설 투자가 필요한데 민간 병원에서는 적자가 나면 운영 안 합니다. 그래서 공공의료, 그게 필요한 겁니다. 시골에 사는 사람들의 인권 중에 하나가 치료받을 권리인데 왜 시골 산다고 그게 없어야 합니까."

    [로드맨]
    "앞으로 10년 뒤에 영암의 의료는 어떻게 될까요?"

    [김승관/영암 지역 내과의]
    "사실 저도 후임을 물색해 보는 과정에서 쓸 만한 의사를 얘기해 봤을 때 한 명도 동의하지 않더라고요. 58세 은퇴하고 싶었는데 지금 64세가 되어버렸거든요. <이러다 은퇴 못 하시는 거 아닙니까?> 은퇴는 해야 하겠죠."

    ==================

    [팩트맨]
    이게 영암만의 문제일까요? 전국 지방 도시들이 비슷한 어려움을 겪다 보니 공공의대 얘기가 나오는 겁니다.

    실제로 우리나라 의사 수가 부족하다는 통계는 있습니다. OECD 평균 보면요. 인구 1000명당 의사 수, 3.4명입니다. 서울 볼까요? 3.1명, 그러니까 서울은 거의 OECD 평균은 되죠. 그런데 전남은 1.7명, 경북은 1.4명입니다. 게다가 평균 1명이 채 안 되는 도시도 45곳이나 됩니다.

    그래서 정부는 공공의대 만들어서 졸업한 의사들을 지방에 의무 복무하게 하자는 입장인 거고요. 의사들은 지방의 의료수가를 현실화하면 의사 늘릴 것 없이 우리가 가겠다, 이런 입장인 겁니다.

    ==================

    영암처럼 지방의 병원들이 하나 둘 사라지기 시작하면 이런 격차는 점점 커질 겁니다. 의료 문제만이 전부는 아니겠죠? 의료만큼이나 중요한 아이들 교육 문제는 어떤지, 다음 주에는 저 건너편에 보이는 남해에서 며칠 지내면서 길 위에서 답을 찾아보겠습니다. 로드맨이었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