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임명현

핫라인 폐기 '당혹'…"대북전단 문제부터 해결"

핫라인 폐기 '당혹'…"대북전단 문제부터 해결"
입력 2020-06-10 07:09 | 수정 2020-06-10 07:10
재생목록
    ◀ 앵커 ▶

    남북정상 간 핫라인은 지난 2년 간 남북관계 개선의 상징이었고, 때문에 청와대도 당혹감을 느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청와대는 다만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대신, 상황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대북전단 문제 해결에 나서겠다는 방침입니다.

    임명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청와대 내부에선 북한의 조치가 예상보다 강도높다, 그래서 좀 당혹스럽다는 분위기도 감지됐습니다.

    하지만 청와대의 공식입장 표명은 일절 없었습니다.

    특히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소집하는지가 관심이었는데, 열지 않았습니다.

    국민들이 불안해할 수 있고 북한을 향해서도 불필요한 메시지를 줄 수 있는 만큼, 절제하면서 차분히 대응한다는 기조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나온 북한의 대남공세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직접 겨냥하진 않았고, 김정은 위원장의 대남 비방도 나오지 않은 만큼 판 자체를 깨려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입니다.

    그래서 일희일비하지 않고, 상황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일을 해나가겠다는 게 청와대의 판단입니다.

    우선 북한이 문제삼고 있고 접경지 주민들도 반발하는 대북전단 문제에 대해, 실효적인 해결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 체제 특성상 당장 입법화는 어렵더라도, 실제로 대북전단이 살포되지 않도록 행정력을 활용해 방지할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

    또 다음 주 6.15 남북정상회담 20주년을 계기로 흔들림없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추진해가겠다는 뜻을 문 대통령이 직접 밝힐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부 전문가와 여당 의원들은 판문점선언 비준동의안 처리와 같은, 좀 더 적극적인 남북합의 이행이 필요하다고 정부에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MBC뉴스 임명현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