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허지희

"조류인플루엔자 백신을"…지자체 등 요구 봇물

"조류인플루엔자 백신을"…지자체 등 요구 봇물
입력 2021-05-11 06:19 | 수정 2021-05-11 06:20
재생목록
    ◀ 앵커 ▶

    우리나라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한 지 19년째가 됩니다.

    2-3년 주기로 반복되고 있는데, 양계협회가 올해부턴 백신을 병행하자고 요구했습니다.

    허지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AI 발생으로 지난해 말부터 살처분된 가금류는 2천여만 마리.

    발생 농가는 100여 곳에 불과했지만 400곳이 넘는 농가에서 예방적 살처분이 진행됐기 때문입니다.

    2003년부터 2-3년 주기로 8차례나 발생한 고병원성 AI로 정부는 살처분과 보상에 1조 원 가까운 돈을 썼습니다.

    2년을 키워야 알을 낳을 수 있는 산란계의 경우, 산란과 AI 발생 주기가 겹쳐 달걀값이 급등하기도 했습니다.

    19년 만에 양계업자들이 내린 결론은 이젠 백신을 하자는 것.

    사람이 독감 주사를 맞듯 산란계에 백신을 주사해 피해를 줄여보자는 겁니다.

    이번에 산란계 천백만 마리를 살처분한 경기도는 공식적으로 백신 도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김종훈/경기도 동물방역위생과장]
    "우리 경기도만이라도 감독할 수 있는 위험 지역에 대해서 산란계나 종계는 백신을 도입하자라는 게…"

    그러나 정부는 인간에게 미칠 영향 등을 생각해 계속 신중론을 피고 있습니다.

    [홍기성/농림축산식품부 조류인플루엔자과장]
    "(바이러스를) 완전하게 근절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파원으로 작용해서 순환 감염을 유발할 수 있고…"

    하지만 학계에선 AI 바이러스의 주요 변이는 백신과 무관하게 발생한다고 지적합니다.

    [송창선/건국대 수의학과 교수]
    "바이러스가 교차감염되는 것을 막기 때문에 거꾸로 변이의 속도는 줄일 수 있지 않겠나…"

    전문가의 상시 농가 점검 등 백신 병행으로 방역 정책의 대변화가 필요하다는 겁니다.

    지난 2017년부터 마련한 긴급 백신 항원뱅크는 되도록 쓰지 않는다는 게 정부의 기조였지만, 각계의 백신 요구는 점점 거세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허지희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