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류현준

털진드기, 흰줄숲모기의 위협‥기후 감염병 확산

털진드기, 흰줄숲모기의 위협‥기후 감염병 확산
입력 2022-11-15 20:22 | 수정 2022-11-15 21:20
재생목록
    ◀ 앵커 ▶

    요즘 늦가을인데도 모기 때문에 밤잠 설치시는 분들 꽤 있으시죠?

    기온이 높아지면서 모기의 활동 기간이 길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기후변화는 폭염이나 폭우, 가뭄과 해수면 상승 같은 심각한 자연재난뿐 아니라 많은 생물들의 서식 환경도 바꿔놓고 있습니다.

    특히 걱정되는 건 모기처럼 질병을 옮기는 벌레들의 생태변화인데요.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는 들판의 진드기들이 최근 점점 북쪽으로 활동반경을 넓히고 있다고 합니다.

    류현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주택 단지 옆으로 추수가 끝난 논밭이 펼쳐집니다.

    논밭 주변 하천에는 우거진 수풀이 수면을 덮고 있습니다.

    하얀 방충복을 입고 연구팀과 함께 수풀 안쪽으로 들어가 봤습니다.

    연구팀은 버섯 모양의 철제 통에 접착지를 붙여놓는 방식으로 털진드기 유충을 채집하고 있습니다.

    [이재찬/인천대 매개체연구센터 연구원]
    "유인제를 통해서 털진드기가 숙주의 냄새를 맡고 흙을 통해 올라오면서 테이프에 이렇게 붙어서 채집하는 방식입니다."

    이 진드기는 '쯔쯔가무시' 병 바이러스를 옮기는데 물리면 뇌수막염 등으로 목숨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이근화/한양대 의과대 미생물학교실 교수]
    "사실 쯔쯔가무시가 항생제가 없으면 되게 위험해요. 특히 이제 고령층 같은 경우는 위험하거든요."

    '쯔쯔가무시' 바이러스를 옮기는 활순털진드기 유충입니다.

    유충의 길이는 0.1mm에 불과해 맨눈으로는 잘 안 보입니다.

    이날 채집한 활순털진드기 유충은 모두 15마리.

    현미경으로 본 유충은, 가슴의 판이 활처럼 휘어져 있고, 10개의 빳빳한 돌기가 돋아 있습니다.

    주로 풀밭에 서식하는 털진드기는 밭일이나 야외 작업을 하는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진드기에 물려 위급한 상태에 빠진 주민도 있습니다.

    [최은임]
    "앞집에 혼자 사시는 할머니가 계속 며칠을 안 나오시는 거예요. 그래서 들어갔더니 막 그냥 정신을 놓으셨더라고요. 여기에 이렇게 벌레가 살에 끼었다고‥"

    그런데 이 진드기는 충청과 남부지방에 주로 살았습니다.

    그러나 2013년 조사에서는 수도권까지 확산된 게 확인됐고, 최근에는 더 북쪽으로 올라와 휴전선 부근에서도 발견됐습니다.

    원인은 기후변화로 기온이 계속 올랐기 때문입니다.

    [권형욱/인천대 생명과학부 교수]
    "남방 한계선이 있어서 그 위쪽으로 못 왔는데 최근에 계속 북상 라인이 올라가고 있죠. 벌써 이제 수도권으로 많이 올라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털진드기가 북상하면, 진드기가 옮기는 쯔쯔가무시병도 전국적으로 퍼질 가능성이 더 커집니다.

    ==============================

    기후변화로 더 위험해진 매개체는 진드기만이 아닙니다.

    모기의 애벌레인 장구벌레가 꼬리를 내밀고 숨을 쉽니다.

    열흘간의 유충 생활을 거쳐 빨간집모기가 나왔습니다.

    이 모기가 집에서 가장 흔하게 만나는 바로 그 모기입니다.

    검은색 몸통에 흰색 줄무늬가 선명한 건 흰줄숲모기.

    흰줄숲모기는 뎅기와 지카바이러스감염증을 옮길 수 있습니다.

    모기가 문제가 되는 건 활동기간이 길어지고 있다는 겁니다.

    체온조절 기능이 없는 모기는 기온이 높아지면 생리작용이 활발해져 빨리 자라고 번식도 많이 합니다.

    [이훈복/서울여대 생명환경공학과 부교수]
    "모기 자체가 개체가 오래 사는 건 아니고, 이제 좀 더 온도가 따뜻해지면 전체 개체군이 더 연속적으로 연속성을 가지고 살기 때문에 오래 산다라고."

    질병을 옮기는 모기가 활동하는 기간이 길어진다는 건 질병 전파 위험도 커진다는 걸 의미합니다.

    [양영철/을지대 보건환경안전학과 교수]
    "뎅기 바이러스가 우리나라에 아직 유입이 안 돼서 환자가 발생이 안 되고 있지 사실은 바이러스가 유입이 되면 언제든지 발병할 수 있는‥"

    올해 국내에서 확인된 뎅기열 환자는 61명.

    동남아 등지에서 감염됐습니다.

    지난 2014년 일본에서는 해외에서 유입된 뎅기열 환자를 문 모기를 통해 뎅기열이 상륙했습니다.

    MBC뉴스 류현준입니다.

    영상취재 : 허원철, 나경운, 윤병순 / 영상편집 : 조민우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