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뉴스 열어보기] 자재 가격 급등‥재개발 사업 마다하는 건설사들

[뉴스 열어보기] 자재 가격 급등‥재개발 사업 마다하는 건설사들
입력 2022-05-20 06:38 | 수정 2022-05-20 06:38
재생목록
    ◀ 앵커 ▶

    '뉴스 열어보기' 시작합니다.

    ◀ 앵커 ▶

    오늘은 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공사비를 감당하지 못하는 건설사들이 재개발 사업을 마다하고 있다는 기사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 앵커 ▶

    조선일보입니다.

    ◀ 앵커 ▶

    철근, 시멘트, 목재 같은 자재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전국의 굵직한 재개발 사업지에서 시공사를 구하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아파트를 짓는 데 드는 비용은 늘었지만 조합 등 사업자가 제시하는 공사단가가 낮아 건설사들이 일감을 마다하는 건데요.

    지난 4일 열린 '신흥1구역' 사업 설명회엔 애초 참가 의향을 보였던 건설사 중 단 한 곳도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건설업계는 애초 성남 신흥1구역의 공사비가 최소한 3.3제곱미터당 5백만 원대 초중반으로 책정될 걸로 예상했지만 조합이 '평당 495만 원 이하'를 제시하자 사업 수주를 준비하던 담당자들이 입찰을 포기한 겁니다.

    한국은행이 조사한 건설용 재료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 3월 기준으로 1년 새 22% 넘게 올랐는데요.

    정부 책정 건축비는 8%만 올라 이같은 현상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 앵커 ▶

    다음은 한겨레입니다.

    최근 아모레퍼시픽 직원 3명이 회삿돈 35억 원을 횡령한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이 사건에 연루된 영업담당 직원 중 1명이 권영소 전 대표이사의 아들이라는 소식입니다.

    권 전 대표는 1983년 아모레퍼시픽에 입사한 뒤 마케팅부문 부사장과 대표이사 등을 거쳐 2014년에 물러났는데요.

    앞서 권모 씨 등 아모레퍼시픽 영업담당 직원 3명은 수년에 걸쳐 35억 원을 빼돌려 주식과 가상자산 투자, 불법도박 등에 썼다가 내부 정기 감사에서 적발됐습니다.

    권 전 대표 아들이 횡령 직원 중에 포함됐는지 묻는 질문에 아모레퍼시픽 측은 "해당 사건은 경찰 수사가 진행 중이므로 개인 신상에 대한 부분은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 앵커 ▶

    이어서 세계일보입니다.

    서울시가 청년을 위한 주거복지사업인 '역세권 청년주택'의 입주자를 선발할 때 부모의 소득을 함께 보기로 했습니다.

    그동안 청년 본인의 소득만으로 선발하다보니 자산이 없는 직장인 청년보다 소득이 많은 부모를 둔 '금수저' 청년이 복지 혜택을 보게 된다는 지적이 있었는데요.

    시는 역세권 청년주택 중 공공주택 입주자격 기준을 본인 소득 기준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20퍼센트에서 본인과 부모 합산 기준 100퍼센트 이하로 변경합니다.

    따라서 부모는 고소득층이지만 본인 소득이 적은 청년이 세대를 분리해 공공주택 입주를 신청하는 편법이 앞으로는 불가능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 앵커 ▶

    다음은 한국일보입니다.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신청 사이트가 이틀에 걸쳐 실수로 노출돼 자영업자들이 혼란을 겪었습니다.

    그제 오후 9시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사이트 주소가 공유되며 정부가 손실보전금 신청을 접수하고 있다는 소문이 빠르게 퍼졌는데요.

    사이트에 사업자번호를 입력하면 보전금 지급 대상 여부와 지급액이 조회되고 당사자에게 '신청 완료' 문자까지 발송된 터라 자영업자 상당수가 신청 절차를 밟았습니다.

    그러나 해당 사이트는 기존 방역지원금 신청 홈페이지를 손실보전금 신청용으로 개편하기 위한 과정에서 예기치 않게 노출됐던 것으로 파악됐는데요.

    뒤늦게 상황을 파악한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진흥공단은 신청자들에게 '오신청 안내문자'를 발송하는 등 사태 수습에 나섰습니다.

    ◀ 앵커 ▶

    끝으로, 동아일보입니다.

    지방자치단체 상당수가 노후화된 헬기를 사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림청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으로 전국 10개 시도가 민간 업체로부터 임차해 산불진화 등에 사용하는 헬기는 총 72대인데, 평균 사용 연수만 35년인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72대 중 약 40퍼센트는 제작된 지 40년이 넘었습니다.

    반세기 전 제작된 헬기가 아직도 운항되고 있는 건 국내에 헬기 사용 연수 제한 규정이 없기 때문인데요.

    한 전문가는 "제작사에서 부품을 생산하는 기간이 길어봐야 30년인데, 이 기간을 넘어가면 중고 부품을 사용하게 되고 이로 인한 결함 우려가 없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지금까지 '뉴스 열어보기'였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