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조희형

중국 한·일에 무비자 경유도 중단‥홍콩 "한국, 여객기 입국 제한 부당"

중국 한·일에 무비자 경유도 중단‥홍콩 "한국, 여객기 입국 제한 부당"
입력 2023-01-11 20:02 | 수정 2023-01-11 20:35
재생목록
    ◀ 앵커 ▶

    한국과 일본에 대해서 단기 비자 발급을 제한한 중국이 하루 만에 무비자 경유도 중단했습니다.

    그동안 중국을 거쳐서 다른 나라로 가는 경우에 일정 기간 비자 없이 경유 도시에 머물 수 있었는데요.

    앞으로는 이런 혜택을 주지 않겠다는 겁니다.

    베이징에서 조희형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추가 조치는 예상보다 빨랐습니다.

    비자 발급 제한 조치 하루 만에 중국은 무비자 경유와 도착 비자 발급도 중단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무비자 경유 제도는 경유자에 한해 3일에서 6일까지 무비자 체류를 허용하는 제도로, 베이징과 상하이 등 대도시의 공항과 항구를 중심으로 운영돼왔습니다.

    주중 한국대사관은 이번 조치로 인해 중국에서 일반적인 환승도 불가능해진 것인지 중국 당국에 확인을 요청한 상태입니다.

    관영언론들은 중국의 보복조치를 옹호했습니다.

    환구시보는 한국이 중국발 입국자를 범죄자 취급하고 있다며 설명을 요구했습니다.

    또, "미국이나 일본은 왜 검사하지 않느냐"며 중국인 관광객 규제는 "정치적 쇼"라고 비난했습니다.

    중국 SNS 웨이보에는 방 한 칸에 중국인들이 모여 앉아 있는 영상이 올라왔는데, 한국이 중국인들을 골방에 가둬두고 모욕적으로 대우하고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웨이보 게시물]
    "한국 격리 시설에 수용된 중국인들은 침대도, 책상도, 의자도 없이 바닥에 앉아야 하고, 잠도 자야 합니다."

    홍콩 정부도 "홍콩발 항공기 착륙을 인천공항으로 제한한 것은 부당한 조치"라며 "한국 정부에 철회를 강력히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고 밝혔습니다.

    [봉황TV (홍콩 위성TV)]
    "이로써 춘제 연휴 기간 홍콩~부산, 홍콩~제주 직항 노선을 운항할 예정이었던 홍콩 익스프레스 항공은 큰 타격을 피할 수 없게 됐습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한국 경제의 중국 의존도가 크다"며 "중국의 쉬운 공략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지난달 한국 국회의원들의 대만 방문에 대한 대응으로 중국이 보복조치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됩니다.

    한국 방역당국은 중국 누리꾼들의 주장에 격리 시설은 관광 호텔급 이상의 수준이라며 적극해명하고 나섰습니다.

    유엔은 입국 심사 등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야 한다며 중국을 우회적으로 비판했습니다.

    베이징에서 MBC뉴스 조희형입니다.

    영상편집 : 권지은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