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북한이 단거리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던 장소를 촬영한 위성사진이 공개됐습니다.
발사대가 두 달 만에 급조된 것으로 보이는데 왜 굳이 기존 이동식 발사대를 놔두고 급조한 시설을 사용했는지, 또 북한의 전술핵 능력은 어디까지 와 있는지 여러 의문점이 남습니다.
홍의표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북한 '서해위성발사장'이 있는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를 지난 1월부터 찍은 위성사진입니다.
눈 덮인 산등성이를 따라 기존 도로에서 또 다른 길이 점점 뻗어나오더니, 도로가 끝나는 지점에서는 발사대로 추정되는 시설 공사도 이어집니다.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이튿날인 지난 20일엔 주변이 검게 변한 듯한 모습도 관찰됐습니다.
북한이 지하에 땅을 깊이 파낸 뒤 만든 미사일 발사 시설, '사일로'를 이용해서 발사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됩니다.
사일로 건설에 최소 수 개월이 걸리는 걸 감안하면, 해당 발사대는 두 달 만에 급조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박원곤/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설사 급조됐더라도 북한이 지하 시설을 만드는 기술은 상당히 발전돼 있는 것은 맞습니다. 북한이 계속해서 미사일 발사의 플랫폼을 다양화하고 있다‥"
북한의 주장대로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전술핵에 사용할 수 있다면, 과연 어느 정도까지 핵탄두를 소형화했는지도 관심사입니다.
남측을 겨냥한 초대형 방사포나 KN-23 단거리 미사일에 핵을 싣기 위해선, 직경 4~50센티미터 정도로 핵탄두를 줄여야하는데, 북한이 이를 확인하기 위해 조만간 핵실험에 나설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상규/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핵공학 박사)]
"(핵탄두) 소형화 관련해가지고 5차 핵실험에서 일부 확인을 했는데, (그때보다) 더 작게 만들어야 되기 때문에 추가 핵실험이 필요할 가능성이 있고‥"
이런 가운데 정부는 북한의 인공위성 개발에 사용될 수 있는 물품 수입을 차단해달라고 국제사회에 요청하는 등, 한 달 만에 대북 독자제재에도 나섰습니다.
MBC뉴스 홍의표입니다.
영상편집 : 이혜지 / 그래픽 : 이승연 하상우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뉴스데스크
홍의표
두 달 급조한 발사대? "감시 정찰 회피 목적"
두 달 급조한 발사대? "감시 정찰 회피 목적"
입력
2023-03-21 20:17
|
수정 2023-03-21 21:04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