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손지윤

[현장36.5] "미리 만나는 사회, 놀이터"

[현장36.5] "미리 만나는 사회, 놀이터"
입력 2023-05-20 20:24 | 수정 2023-05-20 20:59
재생목록
    ◀ 앵커 ▶

    어릴 적 놀이터에서 놀다가 다쳤던 경험 다들 있으시죠?

    부모님은 걱정하셔도 상처가 아물면 어느새 다시 놀이터로 달려가 뛰어놀곤 했는데요.

    요즘 놀이터들은 더 재미있다고 합니다.

    아이들의 도전을 유도하기 위해서 일부러 약간 위험하게 만들기도 한다는데요.

    아이들의 희망을 반영해 놀이터 디자이너의 손으로 만들어지는 '요즘 놀이터들'로 손지윤 영상기자가 찾아가봤습니다.

    ◀ 리포트 ▶

    "안녕하세요~완두콩 놀이터에 오시면! 점프~ 점프!"

    [변아윤, 고나연/초등학교 2학년]
    "구름까지 뛰는 것 같아요. 저희가 말한 대로 만들어주셔서 기뻤어요."

    7살 아윤이와 나연이가 꿈꿨던 놀이터는 한 디자이너 손에서 탄생했습니다.

    [이연재/놀이터 디자이너]
    "놀이터 디자이너 이연재입니다. 놀이 방법이 정해져 있는 것보다는 규칙도 많이 없고 스스로 생각하면서 놀 수 있는 놀이터를 만들고 있어요. 아슬아슬한 나무를 건너가기도 하고, 건너가서 이렇게도 놀고."

    연재 씨가 만든 또 다른 놀이터는 자연을 담았습니다.

    [유주하/초등학교 3학년]
    "소라나 돌멩이 가지고 놀 수도 있고. 나무타기나 여기 물에서 노는 게 제일 재밌는 것 같아요."

    [이연재/놀이터 디자이너]
    "재미없다고 하는 이유는 너무 뻔하다는 거죠. 방법이 정해져 있으면 아이들한테 쉬워요."

    "희로야, 너 뉴스데스크에 나오는 건데"

    [김민재/희로 아빠 겸 배우]
    "자기가 어느 정도로 매달릴 수 있는지 인지하니까 스스로 도전을 조금씩 하는 것 같더라고요."

    [이연재/놀이터 디자이너]
    "약간의 위험을 일부러 넣기도 해요. 작게 작게 다치다 보면."

    "나무 올라가다가‥"

    [이연재/놀이터 디자이너]
    "어디에서 더 조심해야 하는지 스스로 알게 되고."

    "여기가 위험한 게 아니고요, 여기에서 아이들이 더 찰과상을 입게 될 거예요."

    [이연재/놀이터 디자이너]
    "손가락 끼임이나 목 걸림, 옷 걸림은 디자이너가 반드시 확인해서 사전에 방지해야 (하고요.)"

    [이연재/놀이터 디자이너]
    "어른이 되어서 살아가는 삶이 평탄하지 않잖아요. 놀이터에서 여러 가지 상황을 겪다 보면, 나중에 커서 대처할 힘을 키울 수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일상의 사회 연습장처럼‥그렇게 커가는 곳이 놀이터인 것 같아요."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