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임현주

[집중취재M] '정경 유착' 전경련 부활?‥'국정농단' 잊었나

[집중취재M] '정경 유착' 전경련 부활?‥'국정농단' 잊었나
입력 2023-08-16 20:06 | 수정 2023-08-16 21:19
재생목록
    ◀ 앵커 ▶

    오늘 삼성 준법감시위원회가 전국경제인연합회 재가입 여부에 대해서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습니다.

    의견 차이가 커서 이틀 뒤에 다시 논의하기로 했는데요.

    정경유착의 통로로 이용됐다는 비판을 받고 사실상 활동을 중단했던 전경련을 왜 이 시점에 다시 재건하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임현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전경련 복귀를 논의한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는 끝내 결론을 내지 못했습니다.

    [이찬희/삼성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
    "많은 의견들이 나왔고 최종적으로 완전한 하나의 의견을 수렴하지 못했기 때문에 다시 회의를 하기로 했습니다."

    회의에선 '국정농단 같은 문제가 또 발생하면 회비 납부를 중단한다'는 조건부 승인 의견이 오간 걸로 전해졌습니다.

    정경유착 우려가 다시 제기된 건데, 전경련의 역사에는 그런 그림자가 짙게 내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전경련 회장이던 고 정주영 현대 명예회장이 유치위원장을 맡으며 88올림픽 유치에 성공했고, '7,80년대' 산업단지 육성과 IMF위기에서는 기업간 빅딜에서 정부를 지원했습니다.

    하지만 정경유착의 한계는 명확했습니다.

    600억 원에 이르는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일해재단 자금 모금과 노태우 전 대통령의 비자금, 한나라당의 세풍사건, 차떼기 사건에도 연루되면서 여론의 뭇매를 맞았습니다.

    그때마다 변화를 약속했지만 쇄신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2016년 이른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서는 청와대 요구로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 설립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는데 전경련이 관여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허창수/당시 전경련 회장 (2016년 12월 국회 청문회)]
    "정부의 요청이 있으면 기업이 거절하기 힘든 것이 한국적인 현실입니다."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는다는 차원에서 그동안 전경련을 이끌던 삼성과 4대 그룹 계열사 100여 곳이 탈퇴했습니다.

    [이재용/삼성전자 회장 (2016년 12월 국회 청문회)]
    "저는 앞으로 전경련 활동 안 하겠습니다."

    하지만 최근 삼성을 시작으로 전경련 복귀가 다시 논의되면서 부활하는 모습입니다.

    [김남근/변호사]
    "다시 정치권력과 경제권력이 유착해서 정경유착의 폐습이 강화되고, 재벌 중심의 경제 체제가 공고화되면서 우리 사회의 양극화가 더 심화되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습니다."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는 전경련 복귀와 관련한 안건을 오는 18일 재논의하기로 했습니다.

    MBC뉴스 임현주입니다.

    영상취재 : 정인학·이관화 / 영상편집 : 송지원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