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지윤수

'공교육 멈춤의 날' D-1 "집단행동 자제"‥"처벌 말라"

'공교육 멈춤의 날' D-1 "집단행동 자제"‥"처벌 말라"
입력 2023-09-03 19:58 | 수정 2023-09-03 20:01
재생목록
    ◀ 앵커 ▶

    '모든 것이 버거웠다.' 이런 일기를 남기고 떠난 서울 서이초등학교 20대 교사가 숨진 지 내일이면 49일이 됩니다.

    교사들은 이날을 '공교육 멈춤의 날'로 정하고 추모제를 열 계획인데요.

    부랴부랴 교육부는 토론회를 열어 집단행동 자제를 호소했지만 교사들은 추모의 뜻을 막지 말라며 반발했습니다.

    지윤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 리포트 ▶

    업무 부담과 학생 지도의 어려움을 호소하다 숨진 서울 서이초 교사.

    숨진 교사의 49재인 내일 교사들은 전국 곳곳에서, 대규모 집회와 추모 행사를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하루 전인 오늘 교육부는 현장 교사들의 목소리를 듣고 개선책을 알리겠다며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첫 발언에 나선 차관은 추모의 뜻을 특정 목적에 활용하려는 시도를 경계해야 한다면서, 법적 책임을 강조했습니다.

    [장상윤/교육부 차관]
    "(9월 4일이) 수업일임은 헌법과 법률에 따라 규정하고 있는 것도 엄연한 현실입니다."

    그러자, 교육부가 순응적인 교사들을 몰아세우고 있다는 반발이 나왔습니다.

    [조재범/경기 보라초 교사]
    "연가, 병가, 재량 휴업일, 조퇴 혹은 퇴근 후 추모할 수도 있고요. 그 어떤 표현의 양식도 형식도 처벌의 대상이 돼서는 곤란합니다, 안 됩니다."

    참석 교사들은 정당한 학생 지도 활동도 아동 학대로 신고당하는 일이 빈번한데도, 보호책이 부족하다고 성토했습니다.

    [하동준/경기 둔전초 교사]
    "보험을 지원해준다? 총알이 쏟아지는 전장에 내가 방탄조끼 줄 테니까 그냥 계속 뛰어들어가라고‥실제로 그렇게 말씀하세요."

    토론회가 끝날 무렵 예고 없이 방문한 이주호 부총리는 교육당국을 믿고 집단행동을 자제해달라는 호소문을 낭독했습니다.

    [이주호/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교권을 회복해야 한다는 마음은 교육부도 선생님들과 절대 다르지 않습니다. 선생님들께서는 학생들의 곁에서 함께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임시 휴업이 예정된 전국 30개 학교 외에도, 상당수 교사들이 개별적으로 연가 등을 쓰고 추모 행사에 참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교육부는 최대 파면·해임과 같은 징계도 가능하다는 입장이어서, 추모 행사를 둘러싼 교육 현장의 갈등 수위가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지윤수입니다.

    영상취재: 김경배 / 영상편집: 송지원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