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김윤미

'암반' 뚫고 40m 무선통신‥세계 최초 성공

'암반' 뚫고 40m 무선통신‥세계 최초 성공
입력 2023-09-03 20:22 | 수정 2023-09-03 20:26
재생목록
    ◀ 앵커 ▶

    지난해 경북 봉화 광산 매몰사고 기억하시는지요.

    생사를 알 수 없던 광부 2명이 열흘 만에 기적적으로 살아 돌아왔었죠.

    지하 깊숙한 광산은 암반과 흙 때문에 무선통신이 불가능했는데요.

    단단한 바위층을 뚫고 음성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습니다.

    김윤미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지난해 10월 경북 봉화의 한 광산에 토사가 쏟아져 들어왔습니다.

    갱도에서 작업을 하던 광부 2명이 매몰됐고 생사를 알 수 없었습니다.

    붕괴 사고에 내부 통신망이 모두 끊겼고, 생존을 확인하기 위해 천공기로 구멍을 뚫어 내시경을 넣거나 음파탐지기까지 동원해야 했습니다.

    다행히 광부들은 사고 열흘 만에 기적적으로 살아 나왔습니다.

    강원도의 한 광산으로 차량이 들어갑니다.

    마치 개미집처럼 여러 층으로 나눠진 복잡한 구조의 광산 안에 가로세로 1m 크기의 송신기를 설치했습니다.

    신호를 보내자, 석회암 바위층을 뚫고 40m 떨어진 다른 층 갱도의 수신기에 신호가 들어옵니다.

    땅속에서 신호가 줄거나 반사되는 기존의 전파 대신 자기장을 활용했습니다.

    광산이 많은 호주에서는 수십 미터 크기의 송·수신기를 사용하는데 크기도 훨씬 소형화했습니다.

    [김장열/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파연구본부 선임연구원]
    "(송신기) 안테나 크기를 1m 크기로 소형화시켰고, 손바닥만 한 크기의 자기 센서라고 하는 센서를 사용해서 수신기를 구현했습니다."

    지상과 땅속을 잇는 안테나를 설치하면, 광산 붕괴 같은 사고에서 생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조인귀/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파원천기술연구실장]
    "내가 살아있다는 걸 알려주고 그리고 내 위치가 어디라는 걸 알려줄 수 있는…"

    세계 최초로 성공한 이 기술을 통해 광산 붕괴나 지하 화재 같은 사고에서 구조와 대응이 원활해지고, 지하에 묻힌 가스관과 송유관 관리에도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연구팀은 앞서 성공한 수중 무선통신과 함께 통신 가능 거리를 100m 이상으로 늘려 상용화에 나설 계획입니다.

    MBC뉴스 김윤미입니다.

    영상취재: 여상훈 (대전)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