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류현준

[집중취재M] "전국 10곳에 댐 짓겠다"‥4대강 갈등 재연될까 우려

[집중취재M] "전국 10곳에 댐 짓겠다"‥4대강 갈등 재연될까 우려
입력 2023-12-07 20:21 | 수정 2023-12-07 23:20
재생목록
    ◀ 앵커 ▶

    기후변화로 최근엔 해마다 홍수 아니면 가뭄이라는 극단적인 피해를 겪는 곳이 적지 않은데요.

    이를 막겠다며 정부가 전국에 댐 10개를 만들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댐을 만들면, 물을 가둘 수 있지만 그만큼 물에 잠기는 곳이 생길 수밖에 없죠.

    찬반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류현준 기자가 집중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산자락을 끼고 작은 마을이 많은 경기도 연천군.

    예전부터 집중호우로 하천이 범람해 침수되거나 거꾸로 가뭄으로 인한 염해 현상까지 피해가 끊이지 않았습니다.

    [장기철/경기 연천군]
    "여기는 비가 오면 아주 그냥 엄청 무섭게 와요. 도로까지 막 올라올 때도 있어요."

    이를 막기 위해 연천군은 하천 상류에 높이 65미터, 저수량 4천3백만 톤 규모의 댐 건설을 정부에 요청했습니다.

    이곳처럼 댐 건설을 신청한 지자체는 20곳, 환경부는 이 가운데 10곳을 선정해 내년부터 새로 댐을 짓거나 개량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서울 강남 일대 대규모 침수 사태, 올해 '오송 참사'로 이어진 극단적인 폭우에 대비하기 위해 지방하천을 국가하천으로 승격해 지류 지천도 정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화진/환경부 장관]
    "필요한 지역에는 환경부 주도로 적정 규모의 댐을 신설하고, 적지가 있다면 대형 댐도 추진하는 등…"

    피해를 겪은 지역 주민들은 과거와 달리 찬성 입장도 적지 않습니다.

    [이경일/경기 연천군 이장]
    "기후적인 문제를 우리가 대비한다면 감수해야 되지 않겠느냐 (생각합니다.)"

    하지만 댐 건설 효과를 두고 논란은 여전합니다.

    수해 방지를 위해 댐을 지으려면 적어도 저수량 3억 톤 이상 대규모 댐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정창삼/인덕대 스마트건설방재학과 교수 (MBC 재난자문전문위원)]
    "지금 지자체에서 올라와 있는 (댐 신청) 리스트들은 다 큰 댐이 하나도 없어요. 3천만 톤 정도 규모로는 홍수 대응은 거의 불가능하고…"

    댐이 들어서면 수몰 피해도 불가피합니다.

    댐 예정부지 인근 하천에 와있는데요.

    댐이 놓이면 물이 흐르는 반대편에 있는 저 마을은 물에 잠기게 됩니다.

    약 2제곱킬로미터 안에 사는 60세대가 집을 옮겨야 합니다.

    생태 환경 보전을 위해 환경단체들은 댐 외에 대안부터 검토할 것을 요구합니다.

    [정침귀/포항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
    "자꾸 신규 댐을 만드는 게 아니라 지역으로 올수록 저수지가 많지 않습니까? 좀 더 융통성 있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게다가 지난 정부에서 신규 댐 건설을 전면 중단한 지 5년 만에, 다시 정부 주도로 댐을 짓겠다는 방침이어서 과거 4대강 사업 같은 논란과 갈등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MBC뉴스 류현준입니다.

    영상취재 : 김경배·고헌주 / 영상편집 : 권나연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