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이준범

'퇴직연금'도 손댄다‥공적연금처럼 운용

'퇴직연금'도 손댄다‥공적연금처럼 운용
입력 2023-02-17 06:44 | 수정 2023-02-17 06:47
재생목록
    ◀ 앵커 ▶

    연금제도 개편을 논의하고 있는 국회 연금특위 민간자문위원들이 퇴직연금에 대해서는 사실상 합의안을 도출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금융기관 말고, 퇴직연금이 적립되는 기금을 하나 더 만들어 공적 연금처럼 운영하는 방식입니다.

    이준범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직장인들에게 퇴직연금에 대해 물어봤습니다.

    [이원진/직장인]
    "(퇴직연금이) 있는 건 아는데,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몰라서‥잘 모르고 있어요."

    퇴직 때나 손에 쥐는 돈이다보니 관심이 크지 않은 편이지만 퇴직연금 규모는 300조 원에 육박합니다.

    그런데 최근 5년간 운용 수익률은 1.9%.

    같은 기간 7.63%를 기록한 국민연금의 4분의 1에 불과합니다.

    물가가 오른 걸 감안하면 사실상 손해를 본 셈이지만, 금융사들은 매년 1조원 대의 수수료를 가져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위 민간자문위원회가 퇴직연금을 2개로 분리하는 안을 마련한 것으로 MBC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현재 사업주는 직원 월급의 8.3%를 퇴직연금으로 적립하고 있는데, 이중 3~4% 정도를 따로 떼내 공적 기관에 운용을 맡기고 퇴직하면 연금으로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국민연금처럼 누적 수익률이 6% 정도만 돼도 은퇴 이후 소득 대체율이 15% 정도는 될 거라는 게 자문위의 판단입니다.

    자문위는 현재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퇴직연금을 포함해 연금체계 개편을 논의중인데, "퇴직연금에서 이 정도 보장이 된다면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을 크게 올리지 않아도 된다"고 자문위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또 퇴직연금이 분산되면, 목돈을 한 번에 받아가 연금이 남지않는 문제도 해결될 걸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 대다수 가입자들이 연금 대신 일시금 방식으로 받아 갑니다.

    [오건호/내가만드는복지국가 정책위원장]
    "(퇴직연금을) 신규 수급하시는 분들 중에, 연금으로 타 가시는 분들은 5%밖에 안 돼요. 그리고 95%는 다 일시금으로 받아 가니까 연금으로 기능하고 있지 못한데‥"

    자문위는 퇴직연금 중도인출과 일시금 수령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목돈이 필요한 사람들을 감안해야 한다는 반박이 나온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자문위 내 이견이 없어 2월말 국회에 제출할 권고안에 담길 것으로 보이지만, 직장인과 금융권 등이 해당사자들의 반발이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MBC뉴스 이준범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