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뉴스 열어보기] "주 69시간제 개편 땐 '90.5시간 노동' 가능"

[뉴스 열어보기] "주 69시간제 개편 땐 '90.5시간 노동' 가능"
입력 2023-03-13 06:38 | 수정 2023-03-13 06:39
재생목록
    ◀ 앵커 ▶

    '뉴스 열어보기' 시작합니다.

    ◀ 앵커 ▶

    오늘은 근로시간 개편 땐 주 90.5시간 노동까지 가능하다는 기사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 앵커 ▶

    경향신문입니다.

    정부의 근로시간 개편안은 몰아서 일하고 몰아서 쉬는 안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할 때 몰아서 노동자를 쓸 수 있는 안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는데요.

    직장갑질119는 정부가 제시한 '한 달 휴가'를 가려면 하루 12시간씩 30일 일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요.

    정부는 이번 개편안에 따른 주 최대 노동시간은 주휴일 1일을 제외하고 69시간이라고 가정하고 있지만, 이론적으로는 최대 노동시간이 주 90.5시간에 이를 수 있다고 합니다.

    일요일에 휴일근무수당을 지급하면 주 80.5시간제가 되고, 한 주의 첫날은 전날 근무가 없어 '연속 11시간 휴식'으로 시작하지 않으니 10시간을 더해 최대 주90.5시간이 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중앙일보입니다.

    병사 월급이 오르자 장교 경쟁률이 반토막 난 군에 비상이 걸렸다는 기사인데요.

    군을 떠나겠다는 젊은 장교와 부사관은 늘고, 지원자는 줄면서 국방부가 추진하는 군 정예화 계획에 차질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초급 장교 등용문 중 하나인 3사관학교의 경쟁률은 8년 전 7.3대 1에서 2022년 3.6대 1로 하락했는데요.

    학사장교, 학군사관의 경쟁률도 해마다 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는 오르지 않는 임금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병사 월급을 단계적으로 상향한다는 발표가 나오자, 병사 처우 개선에 집중하다가 초급 간부 문제는 뒷전으로 밀렸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이어서 국민일보입니다.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이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는 기사입니다.

    지난해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발행 규모는 약4760억원으로, 코로나19 관련 정부 지원금이 제로페이로 지급되면서 활용도가 높아졌었는데요.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발행이 다음 달 1일부터 무기한 중단된다고 합니다.

    운영기관을 공모하는 과정에서 부득이하게 운영에 공백이 생겼기 때문이라는 게 표면적인 이유인데요.

    기존에 사용해오던 '제로페이'를 없애고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해 '전 정권 지우기'를 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한겨레입니다.

    워킹맘들이 영상이 유포될까봐 홈캠을 없앤다는 기사입니다.

    성형외과 카메라 영상 유출 사건 이후 가정용 홈캠 등 아이피 카메라의 보안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데요.

    한 지역 맘카페에서는 홈캠의 영상이 유출되지는 않는지 불안하다는 글이 올라오고 있다고 합니다.

    홈캠 외에도 모든 영상 촬영 장치에 두려움을 느끼는 '렌즈 포비아'를 호소하는 사람도 늘고 있는데요.

    직장인 이씨는 아파트 거실에 설치된 태블릿형 월패드와 노트북 등 기기에 부착된 모든 카메라 렌즈에 검은 스티커를 붙여서 가렸다는데요.

    온라인에서는 웹캠을 가리는 각종 커버 상품들도 인기를 끌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끝으로, 세계일보입니다.

    경찰 오토바이가 구석에 방치된 채 먼지만 수북이 쌓여 애물단지가 되었다는 기사입니다.

    시대적 변화, 안전 문제 등으로 오토바이를 쓸 일이 많이 없어졌지만, 경찰의 오토바이 운용 정책이 시의적절하게 업데이트되지 못한 탓이라는데요.

    용산경찰서 관할인 한 지구대에 오토바이는 이음쇠와 몸통이 녹슬고 안장이 터진 채 방치되어있었다고 합니다.

    신문은 처분시기를 놓쳐 몇 년간 팔지도 못해 폐차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는데요.

    장비 유지 및 관리에 세금이 드는 만큼 효율적인 배치와 운용을 위한 중장기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뉴스 열어보기'였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