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신준명

"이동관 아들 학폭위 미개최"‥"재수사해야"

"이동관 아들 학폭위 미개최"‥"재수사해야"
입력 2023-06-14 06:19 | 수정 2023-06-14 06:24
재생목록
    ◀ 앵커 ▶

    이동관 대통령실 특보 자녀의 하나고 재학 시절 학교 폭력 사건을 조사한 전 서울시 의원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사건 재수사를 촉구했습니다.

    국민의힘은 학생들 싸움을 정치 공세에 악용하지 말라고 일축했습니다.

    신준명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지난 2015년 8월 서울시의회 하나고 진상 규명 특별위원회.

    당시 증인으로 출석한 하나고 교사 전경원 씨는 이동관 특보 아들의 학교폭력 사건과 관련해 상세히 증언했습니다.

    [전경원/당시 하나고 교사(2015년 8월 26일)]
    "(젊은 교사 2명이) 학생들 피해진술서 내용이 이렇게 있는데 왜 학폭위를 열지 않느냐고 교직원회의 시간에 문제 제기를 했었습니다."

    하나고 교장도 출석해, 피해 학생들이 있었기 때문에 이 특보의 아들이 '권고전학'을 가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태준/당시 하나고 교장(2015년 8월 26일)]
    "(본인과 학부모가) 1학기를 마치고 가게 해 달라 그랬는데도 불구하고 그 학생은 학기 중간에 권고전학을 시키게 돼서 결국 전학을 갔다고 제가 들었습니다."

    특위에 참여했던 전 서울시의원들은 당시 증인으로 나온 교사들의 진술과, 피해학생들의 진술서, 서울시 교육청 특별감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 특보 아들의 학교 폭력은 충분히 증명됐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학폭위가 열리지 않은 경위와, 부정 청탁 및 봐주기 수사 의혹 등을 전면 재수사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정훈/전 하나고 특위위원장]
    "학폭위 무마 과정에 이동관, 이동관의 배우자, 김승유 이사장 등이 관여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촉구한다."

    민주당은 이 사건은 이 특보의 권력형 학폭 은폐라며, 상임위 차원의 청문회 개최도 검토하겠다고 힘을 보탰습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학생들 사이의 싸움을 정치 공세에 악용하지 말라면서, 해명할 의혹이 있다면 지명 이후 인사청문회에서 검증하면 될 일이라고 일축했습니다.

    MBC뉴스 신준명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