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남상호

"언론 탄압 기술자" vs "방송 정상화 적임자"

"언론 탄압 기술자" vs "방송 정상화 적임자"
입력 2023-08-01 06:23 | 수정 2023-08-01 06:28
재생목록
    ◀ 앵커 ▶

    지난 2010년 당시 정부 홍보수석이던 이동관 방통위원장 후보자의 부인에게 인사청탁과 함께 돈 봉투가 들어왔다는 의혹이 있었습니다.

    이 후보자는 부인이 돈 봉투를 돌려줬고, 민정수석실에 이 사실을 자진 신고했다고 해명했는데, YTN이 이런 해명이 명확하지 않다고 보도하자 이 후보자가 법적 대응을 시사했습니다.

    언론탄압이다, 그전이 더 심했다 여야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남상호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이동관 후보자가 이명박 정부 홍보수석이던 2009년에서 10년, 이 후보자 부인에게 인사청탁 이력서와 함께 돈 봉투가 들어왔습니다.

    부인은 돈 봉투를 돌려주고 이 후보자는 이 사실을 민정수석실에 자진 신고했다고 했습니다.

    YTN은 인사 청탁자가 지난 2010년 이 후보자를 직접 만난 것으로 진술했다는 법원의 판결문을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이 후보자는 해당 인물을 만난 기억이 없다면서 근거 없는 의혹을 지속 제기하는데 강한 유감을 표하고, 필요할 경우 법적 대응 등을 강구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엇갈리는 해명을 지적하는 보도에 이 후보자가 법적 대응을 거론하며 입을 막으려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고민정/더불어민주당 의원]
    "법적 대응을 하겠다며 언론사를 겁박하고 있습니다. 언론을 사찰하고 탄압했던 경력이 있는 언론기술자다운 반응이라는 생각입니다."

    "국정원까지 동원해 공영방송을 광범위하게 사찰하고 인사와 방송편성에 개입"했다는 의혹과 아들의 학교폭력 의혹을 지적하며, 1년 내내 청문회를 해도 모자란 인사라고 평가했습니다.

    국민의힘은 박근혜 정부 때 임명된 공영방송사 사장들이 문재인 정부 때 잇따라 해임된 사례를 들며, 문재인 정부 때 언론탄압이 더 심했다고 반박했습니다.

    [박성중/국민의힘 의원 (CBS 김현정의 뉴스쇼)]
    "이명박 정부에서 했던 것, 여러 가지 어떤 언론에 대한 여러 가지 조치들보다는 문재인 정부에서 자행된 언론에 대한 것은 훨씬 심하다…"

    이후 공영방송사들이 왜곡 편파방송과 방만 경영의 늪에 빠졌다며 이동관 후보자를 방송 정상화의 적임자로 내세웠습니다.

    해직언론인협의회 등 15개 언론, 시민단체는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후보자 지명을 "언론탄압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는 윤석열 정부의 의지"라고 평가했습니다.

    MBC뉴스 남상호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