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지윤수

하나고 상담 교사 "학폭에 너무 힘들어했다"

하나고 상담 교사 "학폭에 너무 힘들어했다"
입력 2023-08-17 06:08 | 수정 2023-08-17 06:12
재생목록
    ◀ 앵커 ▶

    지난 2012년 하나고등학교에선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아들의 학교폭력 사건이 불거졌는데요.

    당시 피해 학생들이 맨 처음 찾아간 교사를 취재진이 직접 만났습니다.

    이 교사는 피해 학생들이 1년 내내 학폭에 시달렸다고 호소했고, 이 후보자의 해명과는 달리 당시 화해는 없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지윤수 기자입니다.

    ◀ 리포트 ▶

    2012년 하나고에 있었던 교사 A 씨가 MBC 취재진에게 최근 전해온 편지입니다.

    그 해 3월, 이 선생님은 갓 2학년이 돼 찾아온 제자들을 생생히 기억합니다.

    [당시 하나고 교사 A 씨(음성변조)]
    "교무실 바깥에서 찾아와서 저를 만났고, 교무실 안에 조그마한 상담실이 있어서 어떤 조서를 받은 거죠."

    지난 1년 내내 동급생의 폭력에 시달렸다는 호소였습니다.

    가해자는 이동관 현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의 아들이었습니다.

    학생들이 한참 전부터 문제 제기해왔다는 사실도 그제서야 알았다고 말합니다.

    교사는 학폭 피해를 학교에 보고하고 피해 진술서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했습니다.

    [당시 하나고 교사 A 씨(음성변조)]
    "진술서를 쓴다는 것은 화해가 되어서 진술서를 쓰는 건 아니겠죠."

    그러나 무슨 일인지, 당시 학교폭력위원회는 끝내 열리지 않았고, 이 후보자의 아들은 다른 학교로 전학을 갔습니다.

    그의 생활기록부엔 어떤 학폭 기록도 남지 않았습니다.

    특히 이 선생님이 지금도 납득할 수 없는 건, 학부모였던 이동관 후보자의 대응입니다.

    '이 후보자가 당시 김승유 하나고 이사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었다'는 사실입니다.

    [당시 하나고 교사 A 씨(음성변조)]
    "이사장과 통화했다는 것을 볼 때 잘 이해가 안 되는 부분입니다. 일상 속 어떤 부모도 교사나 교장을 넘어 윗선에 통화하는 사례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언론사 인터뷰에 처음 응한 이 교사가 취재진에게 밝힌 일관된 입장이 있습니다.

    자신을 찾아온 피해 학생 누구도 그 당시 이미 화해했던 제자는 없었다는 점입니다.

    MBC뉴스 지윤수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