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강나림

유엔 안보리 6년 만에 북한 인권 공개회의

유엔 안보리 6년 만에 북한 인권 공개회의
입력 2023-08-18 06:21 | 수정 2023-08-18 06:22
재생목록
    ◀ 앵커 ▶

    북한 인권 상황을 논의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가 6년 만에 열렸습니다.

    미국과 우리나라는 북한 인권 문제가 곧 안보 문제라고 지적했고, 반면 중국과 러시아는 안보리 의제로 인권 문제가 오를 수 없다며 긴장 상황을 악화시키지 말라고 맞받았습니다.

    뉴욕에서 강나림 특파원입니다.

    ◀ 리포트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현지시간 17일 북한 인권과 관련한 공개 회의를 열었습니다.

    앞서 지난 10일 한국과 미국, 일본이 공동으로 회의 개최를 요청한 데 따른 겁니다.

    당초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회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투표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됐는데, 별도의 투표 없이 의제로 채택됐습니다.

    회의에 앞서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북한에서 고문과 강제노동 등 인권 탄압이 이어지고 있다고 발표했고, 탈북 청년도 참석해 북한의 인권 참상을 고발했습니다.

    미국은 북한 정권의 노동력 착취가 불법적인 대량 살상 무기와 탄도미사일 개발 자원으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북한 인권 문제에 안보리가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유엔주재 미국대사]
    "인권 침해는 북한 정권이 공공 자원을 불법적인 대량 살상 무기와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쓸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내년부터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 활동하게 되는 우리나라 역시 북한의 인권 문제가 곧 안보 문제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황준국/유엔주재 대사]
    "북한 인권 상황을 해결하지 못하면 핵 문제의 해결도 바랄 수 없습니다."

    반면 중국과 러시아는 인권 문제는 안보리 의제가 될 수 없다며, 북한을 압박하는 것은 긴장 상황을 더 악화시킬 뿐이라고 반발했습니다.

    안보리 회의 종료 이후 한미일 등 52개국 대표들은 북한의 인권 상황 개선을 위해 유엔 회원국들의 동참을 호소했습니다.

    북한 인권과 관련해 안보리 회의가 열린 건 2017년 이후 6년 만입니다.

    유엔 안보리가 공개적으로 북한 인권을 논의한 것 자체가 북한에 대한 압박이 될 수 있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뉴욕 유엔본부에서 MBC뉴스 강나림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