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홍의표

"'완충구역' 없다"‥북한 이어 우리 군도 '9.19 군사합의' 파기 선언

"'완충구역' 없다"‥북한 이어 우리 군도 '9.19 군사합의' 파기 선언
입력 2024-01-08 19:42 | 수정 2024-01-08 19:44
재생목록
    ◀ 앵커 ▶

    오늘 우리 군은, 북한이 어제까지 사흘 연속 포 사격을 감행함에 따라 9.19 남북 군사합의로 설정한 '완충구역'은 더이상 없다고 선언했습니다.

    지난해 11월 북한의 파기 선언에 이어 우리 역시 9.19 군사 합의를 지키지 않겠다고 밝힌 겁니다.

    군사적 긴장 수위가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먼저 홍의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 리포트 ▶

    북한 군인들이 언 땅을 파더니, 폭약을 설치합니다.

    '지난 6일 해안포 사격을 한 게 아니라 폭약을 터뜨린 것'이라는 김여정 부부장의 담화에 이어, 영상까지 공개한 겁니다.

    [조선중앙TV]
    "우리 군대는 해당 수역에 단 한 발의 포탄도 날리지 않았다. 대한민국 군부 깡패들은 우리가 던진 미끼를 덥썩 받아 물었다."

    "저급한 선동"일 뿐이라며 북한의 주장을 일축했던 군 당국은, 오늘은 '9.19 군사합의'에 따른 해상과 지상 완충구역이 사실상 없어졌다고 선언했습니다.

    [이성준/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북한은) 서해상에서 지난 3일 동안 연속으로 포병 사격을 실시했습니다. 이에 따라서 적대행위 중지구역은 더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남북은 지난 2018년 9.19 합의에 따라, 동해와 서해 북방한계선 일대에 완충구역을 설정해 포 사격이나 함정 기동 훈련을 금지시켰습니다.

    군사분계선 기준 5킬로미터 구역 안에서의 연대급 이상 부대의 지상 야외기동 훈련 등도 역시 하면 안 됩니다.

    하지만 이제 우리 군도 이런 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겠다는 겁니다.

    책임은 북한에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 6일에도 사격 전후로 폭약을 터트려 우리 군을 속이려 했을 뿐이고, 9.19 합의를 3천여 회나 위반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이미 지난해 11월 9.19 합의 파기를 먼저 선언했습니다.

    [박용한/한국국방연구원 선임연구원]
    "(어느) 한측에서 과도하게 반응을 한다든지 또는 접적지역에서 뭔가 인명 피해가 발생될 수 있도록, 양측의 충돌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할 가능성이 가장 높고…"

    이런 가운데,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드론작전사령부를 찾아 "북한이 한반도 정세 악화의 책임을 우리 측에 전가하고 있다"며 "드론을 이용한 북한 내 표적 공격작전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공세 수위를 높였습니다.

    MBC뉴스 홍의표입니다.

    영상취재: 이주영/영상편집: 정지영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