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문다영

잇단 할인 행사에도 '고물가'‥하반기엔 안정되나?

잇단 할인 행사에도 '고물가'‥하반기엔 안정되나?
입력 2024-04-02 19:52 | 수정 2024-04-02 21:27
재생목록
    ◀ 앵커 ▶

    먹거리 물가를 잡기 위해 정부는 여러 차례 대책도 발표하고, 지원금도 쏟아부었는데요.

    일부 논란만 키웠을 뿐 실제 효과는 큰 효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는 전반적으로 물가 상승이 둔화되는 추세인 만큼 하반기엔 안정될 거라는 낙관론을 내놨습니다.

    문다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치솟는 농산물 가격에 정부가 내놓은 대책은 정부 지원금입니다.

    설 명절을 앞두고는 800억 원을 투입했고, 지난달 중순부터는 1,500억 원을 쏟아부으며 할인행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최상목/부총리 (지난 3월 18일)]
    "긴급 농축산물 가격안정자금 1,500억 원을 즉시 투입하여 금주부터 시행하고.."

    하지만 치솟던 과일 가격은 한 달 전보다도 3.3% 더 올랐고, 전체 농산물값도 한 달 전보다 1.3% 더 상승했습니다.

    정부는 할인지원금이 물가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소비자가 느끼는 체감물가는 낮아지고 있다고도 말했습니다.

    [송미령/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정부 할인 지원은 소비자 물가지수 조사 특성상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현장에서 뵙는 소비자분들의 말씀으로는 체감 물가는 보다 낮아지고 있다고들 하십니다."

    통계청은 "정부 지원금이 투입되는 특정품목이 아니라, 불특정 다수가 살 수 있는 동일한 가격을 통계에 반영한다"며 정부 할인지원금이 반영된 가격이 통계에 잡히지 않았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때문에 정부 할인지원금만으로는 먹거리 물가를 의미 있는 수준으로 낮추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준경/한양대 경제학부 교수]
    "상식적으로 우리나라 경제규모라는 게 있는데 천억을 가지고 물가부담을 없앤다라는 게 사실은 역부족이죠."

    정부는 큰 변수가 없다면 하반기엔 물가가 안정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가격 변동이 심한 농산물과 석유류 가격을 제외한 근원물가상승률이 2.4%로 안정적이라는 점을 근거로 제시했습니다.

    하지만 국제유가와 농산물 가격은 변수가 많아 성급한 낙관은 위험하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한국은행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유가와 농산물 가격의 움직임에 따라 당분간 매끄럽지 않은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체감 물가가 내려가고 있다는 관련 부처의 판단과 달리 윤석열 대통령은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는 여전히 높다"며 "긴급 농축산물 가격안정자금을 무제한·무기한으로 투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문다영입니다.

    영상편집: 류다예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