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문다영

삼성전자 1분기 '깜짝' 실적‥반도체 '장기 호황' 오나?

삼성전자 1분기 '깜짝' 실적‥반도체 '장기 호황' 오나?
입력 2024-04-05 20:09 | 수정 2024-04-06 07:24
재생목록
    ◀ 앵커 ▶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을 발표했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열 배가 뛰었고, 지난해 전체 영업 이익보다도 높은 이익을 달성했습니다.

    적자가 이어지던 반도체 부문이 흑자로 돌아선 것으로 추정이 되는데요.

    최근 AI에 사용되는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면서 장기 호황이 가능하다는 기대도 나오고 있습니다.

    문다영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 리포트 ▶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6조 6천억 원이라고 공시했습니다.

    지난해 전체 영업이익보다 많고, 작년 1분기와 비교하면 10배 넘게 늘어난, 그야말로 '깜짝 실적'입니다.

    1분기 매출도 71조 원으로, 5분기 만에 70조 원대로 돌아왔습니다.

    부문별 실적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증권가에선 반도체 부문에서 1조 원에 가까운 영업이익을 낸 걸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 부문은 작년 한해 14조원의 영업 손실을 냈지만 올해 흑자로 반등한 걸로 보입니다.

    생산량이 감소한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올랐고, AI 개발 열풍으로 D램과 낸드플래시 판매량도 증가했습니다.

    [안기현/반도체산업협회 전무]
    "데이터센터의 서버 투자가 많아졌어요. 그래서 거기에 사용되는 낸드 플래시나 D램의 수요가 많아졌고요."

    여기에 AI칩에 사용되는 고대역폭 메모리반도체, 즉 HBM 수요가 향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반도체 시장의 장밋빛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박정호/명지대 교수]
    "사실 인공지능과 관련된 지금 수요는 수요에 비해서 그걸 뒷받침할 수 있는 반도체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에요. 그럼 '만들면 다 팔린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가 될 가능성이 높거든요."

    삼성전자는 올해 초 D램칩을 12단까지 쌓는 HBM 개발에 성공했고 하반기엔 AI칩 설계를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기업 '엔비디아'에 납품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미 HBM 시장 점유율 1위인 SK하이닉스도 5조2천억원을 들여 미국에 HBM 전용공장을 짓기로 하는 등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습니다.

    다만, 미국의 반도체 공룡 마이크론도 차세대 HBM 생산을 시작하면서 글로벌 기업간의 치열한 경쟁이 예고된 상태입니다.

    MBC 뉴스 문다영입니다.

    영상편집 : 김관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