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세월호 참사 유족들과 생존 학생들 외에도 커다란 정신적 고통을 겪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당시 수학여행을 가지 않고 단원고에 남아있던 선생님들과 인근 학교의 학생들도 큰 충격과 고통을 겪었지만, 직접적인 피해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충분한 치료를 받지 못했는데요.
지금도 아픔을 안고 살아가는 이들을 남효정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 리포트 ▶
단원고 교정이 내려다 보이는 야트막한 언덕 위에 자리 잡은 노란 리본 조형물.
그 옆의 노란 우체통을 열자 고이 접은 편지들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어! 두 개 있다."
시민들이 희생자들을 추모하며 남긴 편지들입니다.
세월호 참사 당시 단원고에 재직중이었던 김덕영 선생님은 지난달 다른 학교로 옮긴 뒤에도 세월호 협동조합과 우체통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김덕영/전 단원고 특수교사]
"내용 읽어보면 숙연해지기도 하고. 이걸 보면 유가족분들이 또 얼마나 힘을 얻으실까."
참사 당일, 특수학급 학생들과 수학여행에 별도로 합류할 예정이었던 김 선생님은 공항으로 가는 길에 참사 소식을 들었습니다.
[김덕영/전 단원고 특수교사]
"실시간으로 뉴스에서 배‥ 배 상황을 알게 됐었고. 그래서 복귀를 바로 했죠."
학교로 돌아온 뒤에는 희생된 학생들의 사진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신원을 확인하는 작업을 해야 했습니다.
[김덕영/전 단원고 특수교사]
"아직도 기억나요. 그때 그 사진의 그 모습들이."
슬픔을 견뎌가며 제자들의 마지막 모습을 확인하는 일은 큰 고통이었습니다.
[김덕영/전 단원고 특수교사]
"갑자기 어떤 선생님이 이제 너무 힘들어서 나가겠다는 거예요. 단체 대화방을. 전화해도 전화도 안 받고."
그때의 충격은 세월이 흐를수록 더 깊어졌지만 심리치료 지원을 받지 못한 김 선생님은 봉사활동을 하며 혼자 감내하고 있습니다.
[김덕영/전 단원고 특수교사]
"1년 지나니까 좀 여유가 생기니까 그때 감정들이 몰려오더라고요. 잠도 잘 못 자서 약도 먹고 그랬어요."
세월호 참사 당시 단원고 인근의 학교를 다닌 홍주희 씨는 중학교까지 함께 다닌 친구 수십 명을 한꺼번에 떠나보냈습니다.
[홍주희/단원고 희생자 친구]
"장례식장에서 걔 빈소 빠지고 들어온 게 또 제 친구인 거예요. 똑같은 자리 똑같은 호수에. 자리가 많이 없었어서 그때 장례식장. 또 친구고, 친구고."
매일같이 빈소를 찾아가 친구들을 떠나보내는 건 어린 나이에 감당하기에는 너무 큰 고통이었습니다.
[홍주희/단원고 희생자 친구]
"부모님들이 울어서 거의 막 이렇게 쓰러져 계시고 그런 분위기들이 되게 낯설고 무섭고."
트라우마 검사 결과는 고위험.
하지만 유족과 생존 학생들 앞에서 차마 아픔을 드러낼 수 없어 학교의 상담 권유도 뿌리친 홍 씨는 이때만 되면 참기 힘든 고통에 시달립니다.
[홍주희/단원고 희생자 친구]
"지금처럼 감정 조절이 잘 안 돼요. 그냥 자려고 누워도 울컥울컥 올라오고."
참사의 아픔을 함께 겪고, 여전히 그 아픔을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
10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가 세월호를 잊지 말아야 할 이유입니다.
"우리가 당신들을 잊지 않고 아직도 기억하고 있다 세월호를."
MBC뉴스 남효정입니다.
영상취재: 위동원 / 영상편집: 안준혁 / 자료조사: 최은지 여승헌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뉴스데스크
남효정
'피해자' 아닌 피해자‥계속되는 고통
'피해자' 아닌 피해자‥계속되는 고통
입력
2024-04-13 20:05
|
수정 2024-04-13 20:08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