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문다영

출퇴근 혁명 GTX?‥평일엔 '텅텅' 주말에 더 탄다

출퇴근 혁명 GTX?‥평일엔 '텅텅' 주말에 더 탄다
입력 2024-05-06 20:12 | 수정 2024-05-06 20:19
재생목록
    ◀ 앵커 ▶

    '속도 혁명'을 보여주겠다던 GTX-A, 개통 한 달을 맞았는데요.

    아직 운행 초기라지만, 이용률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출퇴근을 돕겠다던 당초 의도와 달리 평일보다 주말 이용객이 더 많을 정도인데요.

    정부가 대책을 내놨습니다.

    문다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GTX-A 동탄역 승강장입니다.

    평일 낮 시간인데, 승객이 보이질 않습니다.

    20분 만에 도착한 열차는 거의 텅 빈 채로 다시 떠났습니다.

    [김동진/GTX 이용객]
    "강남 쪽으로 이어지는 게 불편하니까 이용하는 게 불편한 게 없잖아 좀 있는 것 같고요. 그리고 또 오산이나 수원 쪽으로 연계되어 있는 연계 교통편이 많이 적거든요."

    동탄 주민들이 GTX 역까지 오는 길도 만만치 않습니다.

    서동탄역이나 병점역에서 오려면 버스로 40~50분이 걸리고, 동탄 외곽의 7개 지역에서도 버스의 배차 간격만 30분 이상입니다.

    [복영한/GTX 이용객]
    "동탄역에서 밖으로 나왔을 때 버스가 딱 대기하고 있어야 되는데 기다리는 시간만 20분, 30분이니까‥ 화가 날 정도로 지금 별로 기분이 안 좋아요."

    또 현재 노선은 수서까지만 개통된 상태라 서울 도심까지 이동하려면 다른 교통편으로 갈아타야 합니다.

    출퇴근을 고려하면 삼성역까진 이어져야 하는데 공사가 지연되면서 4년은 더 걸릴 전망입니다.

    결국 GTX를 타고 시속 180km로 빠르게 달려봐야 일반 대중교통과 다를 게 없습니다.

    [김도경/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교수]
    "수서에서 다시 한번 환승하고 하다 보니까 총 통행시간 면에서는 시간이 좀 절감된다라고 하는 걸 좀 느끼지 못하시는 거 같아요."

    이 때문에 평일에 2만 명 넘게 이용할 거라는 예상과 달리, 하루 이용객은 8천 명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오히려 휴일 이용객이 더 많아 1만 명에 육박하면서, '출퇴근 교통혁명'이 되겠다는 취지가 무색해졌습니다.

    정부는 GTX 수요가 안정되기까지 1~2년이 더 걸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이용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연말까지 동탄역 인근에 동서 연결도로 6개를 추가로 개통하고, 출퇴근 버스 노선 5개를 신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문다영입니다.

    영상취재: 남성현 / 영상편집: 남은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