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뉴스데스크는 지난 1월 서울 지하철 사당역 승강장에서 승객이 안전문과 열차 출입문 사이에 갇혔다가 열차가 지나간 뒤에야 겨우 빠져나온 사고를 전해 드렸습니다.
불과 20일 전에 새로 설치한 안전문이었는데, 사람이 갇혔다는 신호를 처리하지 못했다는 게 서울교통공사의 설명이었습니다.
MBC 취재진이 납품업체가 낸 입찰 서류를 입수해 검토해 봤더니, 안전 인증에서 의심스러운 대목이 있었습니다.
류현준 기자가 집중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직장인 김다해 씨는 지난 1월 출근 도중 지하철 4호선 사당역에서 승차장 안전문과 열차 사이 틈에 갇히는 사고를 당했습니다.
차를 타려는데 갑자기 문이 닫힌 데 이어 안전문마저 닫힌 겁니다.
김 씨는 열차가 선로를 빠져나갈 때까지 폭 50cm 공간에서 버텨야 했습니다.
[김다해]
"'이제 죽겠다.' 이런 생각밖에 안 들어서 너무 무서웠어요."
해당 안전문은 사고 20일 전 설치된 새 것이었는데, 당시 서울교통공사는 "사람이 갇혔다는 신호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다"며 "이런 사고는 처음"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MBC는 사당역 안전문 발주 내역 등 서울교통공사의 입찰 관련 문건을 확보해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안전 인증을 빠뜨린 것으로 의심되는 대목을 발견했습니다.
안전문 관련 인증은 크게 현장인증과 범용인증으로 나뉩니다.
현장인증은 설치 장소별 구조에 맞춰 설치할 때 받지만 범용인증은 제품을 개발할 때 받습니다.
비용은 현장인증이 범용보다 약 1억 원 더 비싼 걸로 알려졌습니다.
그런데 해당 문을 납품한 업체는 입찰 당시 주요 기능 대부분 범용인증서를 냈고 열차와 안전문 사이 연동장치는 엉뚱하게 부산 동해남부선의 현장인증서를 낸 걸로 드러났습니다.
하지만 공사는 이를 거르지 않았고 결국 그 제품이 설치됐습니다.
MBC 취재진의 질의에 공사는 "인증받은 제품이 설치됐으니 절차상 문제가 없다"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현장의 이야기는 다릅니다.
[인증기관 관계자 (음성변조)]
"특정 환경에서 정확하게 작동하는지를 다시 한 번 또 확인하고 인증을 통해서 검증을 받는 것이 안전한 시스템이 승객에게 사용될 수 있지 않을까…"
지난 2016년 지하철 5호선 김포공항역에서 승객이 안전문에 끼어 숨진 이후 모두 10개 역사 안전문이 새로 설치됐습니다.
이 중 사고 발생 직후 설치한 9개 역사에선 모두 현장인증을 제대로 거친 제품을 썼습니다.
서울시가 사고 재발 방지를 약속하며 "비용을 염두에 두지 않고 안전기준을 강화하겠다"고 공언한 시깁니다.
[김 현/한국교통대학교 교수]
"설치하는 곳이 다 다양하잖아요. 일률적으로 다 똑같은 게 아니지 않습니까? 두 차이는 굉장히 크다고 볼 수 있겠죠."
이런 가운데 공사는 최근 사당역 안전문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용역을 발주한 걸로 확인됐습니다.
MBC뉴스 류현준입니다.
영상취재: 이원석 / 영상편집: 김민지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뉴스데스크
류현준
[집중취재M] 승객 갇힌 사당역 안전문‥'안전 인증 부실' 의혹
[집중취재M] 승객 갇힌 사당역 안전문‥'안전 인증 부실' 의혹
입력
2024-05-08 20:25
|
수정 2024-05-08 20:56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