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전재홍

산케이 "사도광산 세계유산, 한국 정부 우호적 변화 조짐"

산케이 "사도광산 세계유산, 한국 정부 우호적 변화 조짐"
입력 2024-05-11 20:19 | 수정 2024-05-11 21:02
재생목록
    ◀ 앵커 ▶

    일본 산케이 신문이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와 관련해 우리 정부의 입장이 적대적에서 우호적으로 바뀌었다는 보도를 했습니다.

    이에 대해 우리 외교부는 바뀐 건 하나도 없다고 반박했는데요.

    그렇다면 일본의 보수 언론이 이같은 보도를 한 이유는 뭔지, 전재홍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일본 정부가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사도광산입니다.

    일본 에도시대부터 금을 캐왔던 곳으로 산업 유산의 가치가 있다는 것이 일본의 추진 이유입니다.

    그러나 사도광산은 2차대전 당시, 전쟁 물자를 확보하기 위해 조선인 1천5백여 명이 강제동원된 현장이기도 합니다.

    일본 산케이 신문이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와 관련해 우리 정부의 태도가 변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산케이는 "2022년 5월 한·일 관계 개선에 긍정적인 윤석열 정권이 탄생하면서 한국 측 태도에 변화의 조짐이 나타났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대한 근거로 윤덕민 주일 대사의 최근 발언을 들었습니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윤 대사는 지난 4월 하나즈미 히데요 니가타현 지사를 만나 사도광산에서 강제 노역이 이뤄진 걸 언급했고 이후 취재진에게 세계유산 등재에 대해 "절대 반대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산케이는 "개탄스럽고 사도광산의 등재 신청을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한다"던 과거 문재인 정부의 입장을 비교해 볼 때 우호적으로 선회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산케이의 보도에 대해 우리 외교부는 과거 정부나 지금이나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등재와 관련해 입장 변화는 없다고 즉각 반박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사도광산이 제2의 군함도가 될 것"이라며, 이제라도 우리 정부가 반대하는 입장을 내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호사카 유지/세종대 교수]
    "2015년 군함도 등재 때도 지금까지도 그 약속을 이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가 일본정부에 강력하게 반발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않은 모습에 안타까움을‥"

    이번 산케이의 보도는 세계유산 등재가 보통 위원국의 만장일치로 결정되는 만큼 우호적인 한·일 관계를 내세우며 21개 위원국 중 하나인 우리나라가 반대표를 던지지 못하게 하려는 사전 정지 작업이라는 분석도 제기됩니다.

    사도 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여부는 오는 7월 말 최종 결정됩니다.

    MBC뉴스 전재홍입니다.

    영상편집: 김창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