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전봉기

미국, 일본 항공모함 머리 위로‥중국 드론에 일본 망신

미국, 일본 항공모함 머리 위로‥중국 드론에 일본 망신
입력 2024-05-12 20:13 | 수정 2024-05-12 21:10
재생목록
    ◀ 앵커 ▶

    한 중국인이 일본의 자위대 기지에 드론을 날려 일본 항공모함을 촬영한 듯한 영상을 공개해 논란이 됐는데요.

    이 중국인이 같은 기지에 있던 미국 항공모함을 찍은 영상까지 공개했습니다.

    일본 방위성은 처음엔 조작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잇따라 영상이 올라오면서 결국 경비 실패를 인정해야 했습니다.

    전봉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갑판 한 가운데 공사가 이뤄지고 있는 항공모함.

    76이란 함번으로 볼 때 일본 요코스카항을 모항으로 하는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로 보입니다.

    드론이 촬영한 것으로 보이는 이 영상은 한 중국인이 소셜사이트 X에 지난 8일 올렸습니다.

    그런데 이 중국인은 앞서 지난 3월 말에 역시 요코스카기지에 있는 일본 자위대의 이즈모함도 촬영해 중국 동영상 사이트에 올렸습니다.

    "드론을 조종해 일본 항공모함에 착륙했다. 게임이 아니다"란 도발적인 제목까지 달았습니다.

    이즈모함은 항공모함으로 사용할 수 있게 개조돼 주변국가들이 주목하는 배입니다.

    중국 드론이 저공비행까지 해가며 찍은 걸로 보이는 영상이 나오자 일본 네티즌들은 방위성을 질타했습니다.

    일본 방위성은 처음엔 AI 등이 만든 조작 영상일 가능성에 무게를 뒀습니다.

    [사카이 료/해상자위대 막료장(지난달 2일 회견)]
    "나로선 그 영상이 조작인지 진짜인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지만 영상이 부자연스런 부분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미국 항공모함 영상까지 올라오자 다음 날 방위성은 실제 드론이 요코스카항에 침입해 찍은 것이라고 입장을 바꿔야 했습니다.

    한 달 새 두 번이나 중국 드론에 뚫린 것으로 일본 방위상은 지극히 심각한 문제라며 경비 실패를 인정했습니다.

    [김민석/한국국방안보포럼 위원]
    "이런 소형 드론을 탐지하기 위한 전용 드론 방어시스템이 있어야 됩니다. 일본 군항의 경우엔 이런 시스템이 전혀 없었던 것으로 보이고..."

    영상을 올렸던 중국인은 촬영 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았다고 밝혀 경비가 허술했음을 증명했습니다.

    또 자민당과 방위성이 자신의 드론 영상 때문에 대책 회의를 연 것도 지적하며 고맙다고 일본 정부를 다시 조롱했습니다.

    일본 언론들은 수십만 원짜리 중국 드론을 막기 위해 수십억이 넘는 탐지시스템을 갖추긴 힘들다면서도 국민들에게 안보에 대한 불안감을 주는 것도 사실이라고 지적했습니다.

    MBC뉴스 전봉기입니다.

    영상편집: 박찬영, 김민지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