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오유림

"전세 사기 당할라"‥서울 아파트 전셋값 51주 연속 상승

"전세 사기 당할라"‥서울 아파트 전셋값 51주 연속 상승
입력 2024-05-12 20:21 | 수정 2024-05-12 20:45
재생목록
    ◀ 앵커 ▶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가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무려 51주 연속, 거의 1년 내내 올랐는데요.

    매물 자체가 적은 데다 '전세 사기' 여파로 세입자들의 수요가 아파트에 쏠리면서, 전세가 고공행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오유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서울 성동구의 1천2백여 세대 규모의 아파트 단지입니다.

    지난 1일 전용면적 84제곱미터 전세가 6억 5천만 원에 거래됐습니다.

    불과 보름 전엔, 같은 면적의 매물이 4억 7천만 원에 갱신됐습니다.

    갱신 계약이 2년 전 전셋값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2년 만에 2억 원 가까이 오른 겁니다.

    [공인중개사(음성변조)]
    "대출 금리도 오르고 전셋값도 다 올랐잖아요. 신규 수요들이 이동을 안 해요. 지금… 40평대는 지금 매물이 없어요."

    일주일 새 성동구 아파트의 전셋값은 0.22% 올랐습니다.

    서울 전체로는 0.09% 올랐습니다.

    51주 연속 오름세에, 상승 폭도 확대됐습니다.

    전세 공급은 부족한데 수요가 몰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서울 전세 물량은 5월 10일 기준 2만 9천여 건으로 1년 전과 비교해 1만 건이나 줄었습니다.

    고금리 상황과 집값 상승에 대한 낮은 기대 심리로, 집을 사지 않고 일단 전세로 눌러앉는 세입자들이 많아졌습니다.

    그러다 보니 재계약 건수도 증가했습니다.

    올해 신고된 서울 아파트 전세 계약 3만 9천여 건 가운데 갱신 계약은 1만 4천여 건으로 전체의 37%를 차지했습니다.

    지난해보다 10%포인트 늘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빌라, 오피스텔 전세 사기 사건 여파로 아파트 쏠림 현상마저 심해졌습니다.

    [강희창/전국비아파트총연맹 회장]
    "전세 사기 여파로 인해서 비아파트를 선호하고 있지 않고, (전세 보증금 보장을 위한) 전세금 반환 보증 한도가 너무 낮아서 임차는 더욱 비아파트를 선호하지 않습니다."

    통상 전셋값이 오르면 매맷값을 밀어 올리면서 전세수요가 매매 수요로 바뀌기도 하지만, 아직 그럴 단계는 아닌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박원갑/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 비율이 50% 약간 넘는 수준인데요. 매매 가격을 압박하려면 그 비율이 한 60%는 넘어야 되는데.."

    전세 시장의 숨통을 틔워줄 것으로 기대했던 서울 둔촌주공아파트의 준공도 당초 예정인 올해 11월보다 늦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어 전셋값 상승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오유림입니다.

    영상취재: 소정섭 / 영상편집: 김민상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