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배주환

논란 일자 하루 만에 "오해"‥말 바꾸기로 또 혼선

논란 일자 하루 만에 "오해"‥말 바꾸기로 또 혼선
입력 2024-05-22 20:17 | 수정 2024-05-22 21:11
재생목록
    ◀ 앵커 ▶

    해외직구 차단 논란에 이어서, 이번엔 정부가 교통사고 사망자를 줄이겠다면서 대책을 내놓더니, 하루 만에 또 수정했습니다.

    65세 이상은 운전면허 제한을 검토한다고 했다가 논란이 일자 급하게 바꾼 건데, 민감한 정책을 섣불리 발표해서 혼란만 키웠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배주환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정부는 당초 고령자의 운전 자격을 관리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만 65세 이상은 운전능력을 평가한 다음 고속도로 운행금지, 속도제한 같은 조건을 달아 면허를 내주는 걸 검토하겠다는 겁니다.

    고령 운전자가 낸 사고로 인한 사망자가 지난해 745명에 이를 만큼 증가 추세라, 보행자 사망을 줄이려면 필요한 조치라는 게 정부 설명이었습니다.

    [박지홍/국토교통부 교통물류실장(지난 20일)]
    "보행 중 사망자는 전체 사망자의 34.7%를 차지하고 있으며 OECD 회원국 평균의 1.9배에 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하지만 고령자 이동권을 과도하게 제한한다, 고령자를 잠재적 위험군으로 본다 같은 반발이 곧바로 나왔습니다.

    [공윤석(70살)]
    "차를 이용해서 출퇴근도 할 수 있고, 여행도 할 수 있고 그런데 갑자기 나이로 해서 제한하면 많이 불편하지 않을까요?"

    [남선자(78살)]
    "(운전면허) 새로 따서 하는 사람이 힘들겠지. 나 같은 경우는 30~40년 오래 했기 때문에 아무 문제가 없는데…"

    그러자 정부는 오해가 있었다며 하루 만에 부랴부랴 자료를 수정했습니다.

    '고령 운전자'를 '고위험 운전자'로 바꾼 겁니다.

    이와 함께 특정 연령층만 대상이 아니라는 또 다른 설명 자료까지 냈습니다.

    정부는 이미 서울대에 운전 제한 조건과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를 맡겨놓은 상태인데, 올해 말까지로 예정된 이 연구 결과가 나오지도 않은 상태에서 대책을 발표하면서 논란만 커진 꼴이 됐습니다.

    [김대한(70살)]
    "최소한 70세 이상 돼서 어려움이 있을 때 같으면 모르지만, 65세는 빠르지 않나 이렇게 생각합니다."

    정부는 지난주에도 안전인증을 받지 않은 해외직구 상품을 차단하겠다고 했다가 거센 반발에 사흘 만에 철회한 바 있습니다.

    이렇게 불쑥 던진 정책이 역풍을 맞고 철회되는 일이 반복되면서, 정책 소비자의 여론을 살피고 조정할 정부 콘트롤타워의 기능이 마비된 거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MBC뉴스 배주환입니다.

    영상취재 : 임지환 / 영상편집 : 장예은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