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정혜인

고물가에 실질소득 추락‥'마이너스 살림' 늘었다

고물가에 실질소득 추락‥'마이너스 살림' 늘었다
입력 2024-05-23 20:10 | 수정 2024-05-23 20:12
재생목록
    ◀ 앵커 ▶

    한국은행이 올해 우리 경제성장률을 2.5%로 높여서 전망했습니다.

    올 들어 기업 수출이 살아났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살림살이는 더 팍팍해졌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근로소득은 줄고 물가는 치솟으면서 지난 1분기 실질적인 가계소득이 7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혜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서울 여의도에서는 요즘 점심시간마다 구내식당으로 직원들이 몰립니다.

    한 끼에 1만 원이 훌쩍 넘는 점심값이 부담스럽기 때문입니다.

    [최영조/회사원]
    "(구내식당이) 다른 외부인들도 올 수 있는 데가 있어요. 되게 많이 이용을 하죠. 왜냐하면 가격 차이가 많이 나잖아요."

    외식비를 줄이려 도시락을 싸오기도 합니다.

    [김다솔·최민영/회사원]
    "하루에 그냥 세 끼를 다 사 먹는다고 쳐도 한 4, 5만 원씩 나오니까 이게 너무 부담이 되더라고요."

    직장인들에게 고물가는 더 와 닿습니다.

    지난 1분기, 사업과 임대 소득 등을 합친 전체 가구 소득은 512만 2천 원으로 1년 전보다 1.4% 오른 반면, 일을 해서 버는 근로소득은 1.1% 줄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물가상승률을 반영하면 오히려 실질 소득은 '마이너스'였습니다.

    전체 가구의 실질 소득이 7년 만에 가장 큰 1.6% 줄었고, '근로소득' 역시 3.9%나 떨어졌습니다.

    통계를 작성한 2006년 이후 가장 큰 감소폭입니다.

    [이진석/통계청 가계동향수지과장]
    "작년 같은 경우에 주요 일부 대기업 같은 데서 상여금이 좀 줄었거나 감소한, 없었던 측면이 있었거든요."

    고물가의 여파는 소비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났습니다.

    식료품과 음료 구매에 7% 넘게 지출이 늘었고, 특히 과일과 과일가공품의 소비지출 증가율이 18.7%로 가장 높았습니다.

    또 소득이 하위 20%인 취약계층에선 손에 쥔 돈보다 소비 지출이 더 많았던 '적자가구'가 10곳 중 6곳에 달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당초 2.1%에서 2.5%로 올리면서 기준금리는 연 3.5%로 계속 묶었습니다.

    금리 인하는 "물가상승률이 내려가는 추세가 확인되면 고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정혜인입니다.

    영상취재: 이관호 / 영상편집: 민경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