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김정우

막판 연금개혁 공세에‥여당 내에서도 "민주당 방안 받아야"

막판 연금개혁 공세에‥여당 내에서도 "민주당 방안 받아야"
입력 2024-05-27 20:19 | 수정 2024-05-27 22:46
재생목록
    ◀ 앵커 ▶

    지금 청년들은 국민연금,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이틀 남은 21대 국회 막판에 연금 개혁이 쟁점으로 급부상했지만, 여야는 오늘도 합의에 실패했습니다.

    얼마를 더 내고 더 받을지, 일단 모수개혁이라도 끝내자며 야당이 밀어붙였지만, 여당은 다음 국회에서 구조까지 고치자며 반대하고 있죠.

    그런데 국민의힘 내 중량급 당권주자들로부터 민주당 의견을 수용하자는 주장이 잇따라 나왔습니다.

    김정우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여당 내 연금개혁 중재안이었던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44%' 방안을 전격 수용한 더불어민주당은, 21대 국회에서 주요 수치, 즉 '모수' 개혁을 마무리하자며 공세를 이어갔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개혁을) 안 하자는 것 같습니다. 야당의 양보로 의견이 일치된 모수 개혁 처리부터 먼저 하면 됩니다."

    국민의힘은 "숫자 몇 개 고친다고 될 일이 아니"라며 "22대 국회에서 구조개혁도 함께 논의하자"는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김진표 국회의장이 여야 원내대표를 불러 논의를 이어갔지만, 합의는 무산됐습니다.

    국민의힘 지도부가 요지부동인 가운데, 나란히 5선인 유력 당권주자들이 차례로 민주당 방안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나경원/국민의힘 당선인]
    "그 정도로 이재명 대표가 여러 가지 제안을 했다면 우리가 모수개혁이라도 진행하는 것이, 다만 조건부죠? 하는 것이 맞지 않나‥"

    [윤상현/국민의힘 의원 (YTN라디오 '뉴스파이팅 배승희입니다')]
    "모수개혁에 합의만 하는 것도 대단히 긍정적인 평가입니다. 저는 이재명 대표 것을 긍정적으로 봅니다."

    '안 하는 것보단 하는 게 훨씬 낫다''정략적 의도가 있든 없든, 첫걸음으로서 합의해주는 게 맞다' 목소리도 이어졌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라더니, 정작 논의 주도권을 민주당에 뺏긴 상황에서, 여당 때문에 아무것도 못했다는 책임론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당권주자들로선 대통령실과 거리를 두며, 비판을 피하려는 의도도 엿보입니다.

    민주당은 21대 국회 마지막날인 29일, 연금개혁만을 다룰 '원포인트 본회의'까지 열 수 있다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통령실과 여당 기류를 살펴보면 돌연 입장을 바꿀 가능성은 극히 낮아 보입니다.

    MBC뉴스 김정우입니다.

    영상취재: 서현권 / 영상편집: 김현국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