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조희형

北 "'풍선' 계속 보낼 것"‥'오물'보다 위험할 수도

北 "'풍선' 계속 보낼 것"‥'오물'보다 위험할 수도
입력 2024-05-30 20:02 | 수정 2024-05-30 21:00
재생목록
    ◀ 앵커 ▶

    북한이 날린 대형 풍선은 전국 곳곳에 퍼져 시민들의 일상을 위협했습니다.

    서울 도심의 정부청사와 학교에도 떨어졌는데요.

    현재까지는 단순 오물이지만, 앞으로는 어떤 내용물이 담겨 날아올지 모르는 상황입니다.

    북한은 오늘도 단거리 탄도미사일 10여 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하는 등 도발을 이어갔습니다.

    보도에 조희형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북한이 날린 대형 풍선 260여 개는 서울 한복판 광화문 인근 정부청사에도 떨어졌습니다.

    노원구의 한 중학교, 영등포구의 주차장 등 도심 곳곳에 오물 풍선이 날아왔습니다.

    정부 주요 기관, 학교와 학생, 시민의 일상적 공간까지 침투한 겁니다.

    종로와 용산 등 도심에선 아랍에미리트 대통령의 국빈방문 등 외교 행사까지 진행되던 상황이었습니다.

    이번엔 오물이었지만 앞으로 무엇이 담길지 예상할 수 없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한기호/국민의힘 의원]
    "최악의 경우 생화학 물질이나 폭발물을 매달아 공격할 수도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합동참모본부는 풍선에 적재된 오물에 담배꽁초와 퇴비, 폐건전지, 폐 천 조각 등이 확인됐지만 화생방 오염물질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풍선을 격추하지 않은 데 대해선 내용물이 떨어져 추가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막고, 회수도 가능하게 하려는 조치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성준/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북한 쪽에서부터 날아오고 있는데 그걸 격추하기 위해서 우리가 사격을 하게 되면 우리 탄이 MDL 이북으로 월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그것이 분쟁을 일으킬 수도 있고…"

    북한은 풍선 도발을 대북 전단에 대한 맞대응이라 주장하고 있습니다.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대남 풍선을 두고 "성의의 선물"이라며 "계속 계속 주워담아야 할 것"이라고 공언한 만큼 앞으로 더 날아올 가능성도 있습니다.

    북한의 도발은 다각화되고 있습니다.

    오늘 오전 평양 순안 일대에서 초대형 방사포로 추정되는 단거리 탄도미사일 10여 발을 쏘아올렸습니다.

    [정성장/세종연구소 한반도전략센터장]
    '정찰위성 발사가 실패로 돌아감으로써 북한의 자존심이 구겨졌다고 볼 수 있겠고요. 관심을 전환시키기 위해서…"

    서해상에서 위치정보시스템 GPS 교란신호까지 보내면서 백령도와 연평도를 오가는 여객선과 어선에 오작동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국내 어선의 NLL 침범을 유도해 충돌을 유발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MBC뉴스 조희형입니다.

    영상편집: 박병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