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박소희

"삼성 시가총액의 5배"‥"낙관론은 금물‥시추해 봐야"

"삼성 시가총액의 5배"‥"낙관론은 금물‥시추해 봐야"
입력 2024-06-03 20:05 | 수정 2024-06-03 22:45
재생목록
    ◀ 앵커 ▶

    정부의 발표대로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 가스가 우리 바다에서 나온다면, 에너지 자립이 가능하다는 전망까지 나옵니다.

    하지만, 아직은 '가능성' 수준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인데요.

    실제 매장량을 확인하고, 경제성도 검토해야 하는 등 변수가 많다는 겁니다.

    이어서 박소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지난 1998년, 울산 앞바다에서 동해 가스전이 발견됐습니다.

    [뉴스데스크 (2002년 3월 5일)]
    "가스 생산에 들어가는 비용이 3억 달러로 추산되는 만큼 7억 달러, 즉 1조 원 가까운 순수익이 기대됩니다."

    개발 비용으로 1조 2천억 원을 투자했는데, 기대와 달리 실제 생산량은 연간 소비량의 3%에도 미치지 못했습니다.

    정부는 이번에 최대 140억 배럴로 추정되는 석유, 가스는 동해 가스전 규모의 300배가 넘는다고 밝혔습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조심스럽다'는 전제를 달긴 했지만, "현재 가치로 삼성전자 시가 총액의 5배에 달한다"며 그 가치를 강조했습니다.

    다만 한 정부 관계자는 이번 동해 심해 석유·가스 개발 성공률을 "20% 정도"로 봤습니다.

    통상보다 높은 수준이라고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나친 낙관론을 경계하고 있습니다.

    실제 석유나 가스가 얼마나 있는지 확인하려면 시추 작업을 해봐야 결과가 나온다는 겁니다.

    [성원모/한양대 자원환경공학과 교수]
    "상부층을 뚫어봐서 그 안에 진짜 탄화수소가 존재하는지 그거를 이제 평가를 해야 돼요. 2공 이상은 뚫어봐야 정확히 알 수가 있겠죠."

    무엇보다 중요한 건 경제성입니다.

    정부가 발표한 추정 매장량은 최소 35억 배럴에서 최대 140억 배럴로 차이가 매우 큽니다.

    실제 매장량과 채굴의 난이도 등이 나와야 수익을 추산할 수 있기 때문에 지금 단계에서 상업적인 성공 가능성을 예단하긴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견해입니다.

    정부는 올 연말부터 시추를 시작하더라도 상업적인 개발은 오는 2035년쯤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또 시추 비용은 정부 재정과 석유공사의 해외투자 수익금, 해외 메이저기업의 투자 유치를 통해 조달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박소희입니다.

    영상편집 : 김정은 / 영상제공 : 석유공사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