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김지성

대북전단 20만 장 기습 살포‥"피해는 주민들이"

대북전단 20만 장 기습 살포‥"피해는 주민들이"
입력 2024-06-06 19:49 | 수정 2024-06-06 19:53
재생목록
    ◀ 앵커 ▶

    탈북민단체가 오늘 새벽 북한 쪽으로 대북 전단 20만 장을 날려보냈습니다.

    북한이 다시, 오물풍선 등으로 맞대응할 가능성도 제기되는데요.

    접경지 주민들이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불안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김지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탈북민단체 회원들이 경기 북부 접경지인 포천에서 북쪽으로 대형 풍선 10개를 날려보냅니다.

    [박상학/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
    "북한 인민이여, 일어나라!"

    북한 김정은 위원장을 비판하는 대북전단 20만 장과 케이팝과 트로트 음악, 드라마가 담긴 USB 5천 개, 1달러짜리 지폐 2천 장을 담았습니다.

    [박상학/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
    "(오물 풍선에) 김정은이 사과하기 전까지 만약에 사과 안 하면 우리 탈북자들의 사실과 진실 편지 대북 전단을 더 많이 더 자주 보내려고 합니다."

    이곳은 경기도 포천에서도 가장 북쪽에 있는 마을 중 한 곳입니다.

    북한의 도발로 위급한 상황이 생기면 주민들은 이 대피소로 몸을 피하게 되는데요.

    접경지역 주민들을 직접 만나보겠습니다.

    [허태자/경기도 포천 주민]
    "북한에 가까운 데 사는데 불안해요. 불안해. 혹시나 이래서 또 네 탓 내 탓 하다가 버벅 붙을까봐 또 겁나고."

    대북 전단이 남북 관계를 자극해 직접적인 피해를 입을까 걱정이 큽니다.

    [삼영숙/경기도 포천 주민]
    "이 쪽에서 하다보면 저 쪽에서 더 또 강하게 나오잖아요. 아무래도 더 불안하고 피해는 저희 주민들이 다 입는 거죠."

    다만 일부에선 전단을 보내는 의도는 이해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서수원/경기도 포천 주민]
    "우리 실정을 거기는 모르잖아요. (대북 전단을) 많이 보내서 거기 일깨워져서.."

    탈북민단체는 앞서 지난달에도 대북전단 30만 장을 북한에 날려보냈습니다.

    북한이 이를 빌미 삼아 오물 풍선 약 천 개를 남쪽으로 내려보내 맞대응했고, 결국 마지막 안전핀으로 여겨지는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로 이어졌습니다.

    북한은 앞서, 대북 전단을 다시 살포하면 백 배로 보내겠다고 밝힌 바 있어 북한이 다시 오물 풍선 등으로 맞대응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우리 군에 따르면 탈북민 단체가 날린 풍선 일부는 북한 상공으로 날아간 것으로 파악됐으며, 합참 관계자는 북한의 도발 징후를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통일부는 대북전단 살포는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야한다는 헌재 판결을 고려해 접근하고 있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MBC뉴스 김지성입니다.

    영상취재: 전인제 / 영상편집: 조민서/ 영상제공: 자유북한운동연합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