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윤수한

'역대급'이라더니 벌써 내분?‥개원의 '휴진 신고'도 4% 그쳐

'역대급'이라더니 벌써 내분?‥개원의 '휴진 신고'도 4% 그쳐
입력 2024-06-14 19:54 | 수정 2024-06-14 20:01
재생목록
    ◀ 앵커 ▶

    다음 주 화요일 의료계 총파업에 참여하겠다는 동네 개원의 등의 '신고' 비율이 4%에 그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환자를 겁주지 말아야 한다"며 공개적으로 휴진 불참을 밝히는 의사들도 나타나면서, 집단행동 개시를 앞두고 균열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윤수한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대한의사협회는 오는 18일 '집단 휴진'에 높은 참여가 예상된다고 강조해왔습니다.

    [최안나/대한의사협회 대변인 (어제)]
    "전국 의사 투표로 결정이 됐습니다. 90.6%라는 놀라운 지지와 73.5%라는 참여 의사에 바탕으로‥"

    하지만 정부 집계 결과, 휴진 신고 기한인 어제까지 지자체에 신고서를 낸 병원은 3만 6천300여 곳 중 1천400여 곳, 4%에 그쳤습니다.

    일부 개원의들이 신고 없이 동참할 가능성은 있지만, '역대급'이라던 의협의 기대에는 훨씬 못 미치고 있는 겁니다.

    불참을 선언하며 지도부에 반기를 드는 의료계 단체들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는 입장문을 내고 "환자들을 겁주고 위기에 빠뜨리는 행동은 삼가야한다"며, 삭발과 단식 등 차라리 스스로를 희생하는 방식이 맞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분만병의원협회와 아동병원협회도 휴진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자신도 소아과 의사인 임현택 의협 회장은 아동병원협회를 겨냥해 "멀쩡한 애를 입원시키면 인센티브를 주는 곳"이라고 맹비난하기도 했습니다.

    다음 주 월요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가는 서울의대·병원 교수들은 기자 간담회를 자청해 집단행동의 불가피성을 호소했습니다.

    [강희경/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회 비상대책위원장]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은 현 의료 사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공익을 위한 것임을 헤아려 주시기를 요청합니다."

    정부는 휴일인 모레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긴급회의를 열어 의료계 집단행동 대응책을 점검할 예정입니다.

    또 수업을 거부 중인 의대생들의 집단 유급을 막기 위해, 하반기에 1년치 과정을 몰아 배울 수 있게 하는 등 '비상 학사운영 가이드라인'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MBC뉴스 윤수한입니다.

    영상편집 : 유다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