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홍의표

유감 표한 정부 "비상진료체계 강화"‥정치권은 뒷북 대응

유감 표한 정부 "비상진료체계 강화"‥정치권은 뒷북 대응
입력 2024-06-16 20:01 | 수정 2024-06-16 20:03
재생목록
    ◀ 앵커 ▶

    이번 집단 휴진에 대비해 정부는 비상진료체계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응급환자나 암 환자들이 제때 치료받지 못하는 일이 없게 한다는 건데요.

    정치권에서도 부랴부랴 사태 해결에 나섰지만, 당장의 뾰족한 수를 내기엔 늦었다는 평가입니다.

    홍의표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정부는 집단 휴진 결정을 거두지 않는 의료계에 깊은 유감을 표했습니다.

    [한덕수/국무총리]
    "우리 사회 전체에 큰 상처를 남기고, 의료계와 환자들이 수십 년에 걸쳐 쌓은 신뢰를 무너뜨리는 일입니다."

    그러면서 이번 집단 휴진에 대응해 비상진료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전국 4개 광역별로 당직 기관을 정해 응급환자를 24시간 대비할 수 있게 하고, 국립암센터 병상을 최대한 가동해 암 환자들의 진료 공백을 줄이기로 했습니다.

    공공의료기관 병상도 최대치로 가동하고, 경증 환자의 비대면 진료도 활성화한다는 겁니다.

    정부는 의료계를 향한 대화의 문도 열려있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다만 의료계가 요구해 온 전공의들에 대한 행정처분 취소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이미 선을 그은 데다, 의대 정원 증원 문제 역시 양측의 근본적인 입장 차가 뚜렷한 상황입니다.

    정치권에서도 부랴부랴 대응에 나섰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은 무기한 휴진을 예고한 서울의대 비대위 등을 면담했지만, 현 상황을 재확인하는 데 그쳤습니다.

    [강선우/더불어민주당 의원]
    "의정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국회가 할 수 있는 모든 역할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선 할 계획입니다."

    국회 상임위를 전면 거부하고 있는 국민의힘도 앞서 자체 특위 차원에서 의협을 만났지만, 뚜렷한 대책을 내진 못했습니다.

    [인요한/국민의힘 의원 (지난 14일)]
    "(현 상황을) 어떻게 해결할 건지 그런 진지한 대화를 나눴습니다. 의협회장님한테 많이 배웠습니다."

    의정 갈등의 골이 이미 깊어질 대로 깊어졌지만, 정치권이라도 나서서 사태 해결을 위해 노력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정진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의료계를 향해 "국민의 호소에 귀 기울여 현명한 판단을 내려달라"고 말했습니다.

    MBC뉴스 홍의표입니다.

    영상취재: 김해동 / 영상편집: 송지원 / 그래픽: 백지연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