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박솔잎

윤석열 대통령, 해병대 수사기록 회수 당일 임기훈·신범철과도 통화

윤석열 대통령, 해병대 수사기록 회수 당일 임기훈·신범철과도 통화
입력 2024-06-19 19:54 | 수정 2024-06-19 19:56
재생목록
    ◀ 앵커 ▶

    이어서 채상병 사건 수사외압 의혹 소식 전해드립니다.

    작년 8월 2일 해병대 수사단이 경찰에 넘겼던 사건 기록을 군이 회수한 날, 윤 대통령이 개인 휴대폰으로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세 차례 전화했다는 소식 전해드렸었죠.

    이날 대통령의 통화 내역이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윤 대통령은 역시 개인 전화로 임기훈 당시 대통령실 국방비서관과 신범철 당시 국방부 차관에게도 직접 전화를 했는데요.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이 보직해임되고, 군이 사건기록을 경찰에서 다시 가져온 이날, 휴가 중이던 윤 대통령은 왜 여기저기로 전화를 걸었을까요.

    박솔잎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해병대 수사단이 채 상병 사건 기록을 경북경찰청에 넘긴 지난해 8월 2일.

    윤석열 대통령이 해외 출장 중이던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연락했습니다.

    낮 12시 7분, 12시 43분, 12시 57분 모두 세 차례입니다.

    검사 시절부터 쓰던 개인 휴대폰으로 전화했습니다.

    통화 이후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이 보직해임됐습니다.

    그리고 윤 대통령이 이 직후, 임기훈 대통령실 국방비서관에게도 이 휴대폰으로 전화한 것으로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오후 1시25분부터 4분51초 동안 통화가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임 비서관은 10여분 뒤인 1시42분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에게 전화합니다.

    유재은 관리관은 몇 분 뒤(1시51분) 경북경찰청 수사부장에게 전화했습니다.

    "국방부가 채상병 사건 기록을 회수하겠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임기훈 비서관, 유재은 관리관, 경북경찰청, 이렇게 통화가 이어진 겁니다.

    윤 대통령은 오후 4시 21분, 신범철 국방부 차관과도 한 차례 통화했습니다.

    국방부는 그날 저녁 채상병 사건 기록을 경찰에서 다시 가져왔습니다.

    임성근 해병대 1사단장 등 혐의자를 8명으로 적시한 자료였습니다.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공수처도 윤 대통령의 관여 정황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올해 1월 해병대와 국방부 등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청구할 때도, 윤 대통령 통화 내역 등이 포함된 서류를 법원에 제출했습니다.

    작년 8월 2일 윤석열 대통령의 개인 휴대폰 통화가 채상병 관련 전화였는지 대통령실에 물었지만 답하지 않았습니다.

    MBC뉴스 박솔잎입니다.

    영상편집: 민경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