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손령

파리 올림픽 '노 에어컨' 논란‥선수 더위도 빈부격차?

파리 올림픽 '노 에어컨' 논란‥선수 더위도 빈부격차?
입력 2024-06-20 20:40 | 수정 2024-06-20 21:35
재생목록
    ◀ 앵커 ▶

    다음 달 열리는 파리 올림픽 선수촌 숙소에는 에어컨이 없습니다.

    친환경 올림픽을 위해서라지만 선수들 건강을 염려하는 목소리도 나오는데요.

    이 와중에 예산이 많은 일부 나라들은 자국 선수들에게 이동형 에어컨을 지원하기로 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파리에서 손령 특파원입니다.

    ◀ 리포트 ▶

    작은 방에 침대 두 개, 그리고 선풍기 한대가 놓여있습니다.

    올여름 열리는 파리 올림픽 선수들 숙소입니다.

    에어컨 없는 올림픽.

    가장 친환경적 올림픽이 될 거라면서 프랑스 측이 내세운 약속입니다.

    대신 직사광선을 피하고, 지하 냉각수를 활용해 건물 전체를 외부보다 6도 낮게 유지하도록
    설계했다고 자랑했습니다.

    [안 이달고/파리 시장]
    "선수촌은 아주, 아주 높은 기온에서도 쾌적한 온도를 유지해 에어컨이 필요 없도록 설계됐습니다."

    하지만 무더위에 선수들이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이번 올림픽의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폭염이 이번 대회에서 가장 큰 위험 중 하나가 될 것이란 보고서도 나왔습니다.

    무더위로 선수들이 쓰러지고 사망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선수와 관중을 위한 수분 보충과 냉방 계획을 촉구했습니다.

    100년 전 파리 올림픽보다 평균 기온이 3.1도 올랐고, 지난해 프랑스에서는 최고 43도까지 치솟아 5천 명이 숨진 사실도 지적했습니다.

    실제, 지난 도쿄 올림픽 때에도 선수 100명 중 1명이 온열 관련 질환을 겪었습니다.

    그래서 예산이 많은 나라들은 선수들에게 이동형 에어컨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미국과 영국, 독일 등 전체 선수단의 4분의 1에 달하는데 중국까지 에어컨을 사용하면 그 규모는 훨씬 커질 수 있습니다.

    [안나 미어스/호주 올림픽선수단 단장]
    "더울 때 사용을 원하는 선수들에게 이동형 에어컨 지원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반면, 우간다 측은 "냉방 기기를 지원할 자금이 없다"고 호소했습니다.

    이동형 에어컨으로 친환경 올림픽을 내세운 주최 측의 의도도 무색해졌습니다.

    오히려 나라별 빈부 격차에 따라 경기 결과와 선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새로운 과제까지 떠안게 됐습니다.

    파리에서 MBC뉴스 손령입니다.

    영상취재 : 김은정 / 편집 : 박천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