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박진주

오늘 하루 '배민 앱' 끕니다‥'무료 배달' 했더니 오히려 손해?

오늘 하루 '배민 앱' 끕니다‥'무료 배달' 했더니 오히려 손해?
입력 2024-06-21 20:31 | 수정 2024-06-21 21:12
재생목록
    ◀ 앵커 ▶

    오늘 하루, 배달 노동자와 음식점주들이 배달의 민족 앱의 배달 콜을 거부하는 단체 행동에 나섰습니다.

    배달앱 플램폼들이 경쟁적으로 시작한 무료 배달서비스로 인해 수수료 부담이 과하다는 건데요.

    박진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배달 노동자와 음식점 사장 2백여 명이 국회 앞에 모였습니다.

    이들은 배달앱의 무료 경쟁에 자신들이 희생되고 있다며, 오늘 하루, '배달의민족' 주문 앱을 껐습니다.

    [한 승/라이더유니온]
    "대체 이 무료 배달은 누구를 위한 무료 배달인가."

    배달 노동자가 40분 만에 주문 한 건을 처리하고 받는 돈은 대략 5천3백 원, 기름값에 보험료 등을 빼면 3천6백 원 정도 남습니다.

    그런데, 무료 배달 서비스가 시작되고 지난달 말 기본 운임료가 3천 원에서 2천2백 원으로 떨어졌고, 수입도 30%가량 줄었다고 합니다.

    [구교현/배달 노동자]
    "오토바이 유지, 관리, 보험료 이런 것도…지금 상황에서는 최저임금이 안 되는 거죠."

    음식점 업주들도 불만입니다.

    이 보쌈집은 무료 배달 서비스에 가입한 뒤 오히려 수익이 줄었다고 호소합니다.

    무료 배달 음식점이 되려면 수수료를 기존의 정액제에서 6.8% 정률제로 바꿔야 하기 때문입니다.

    앱에서 가게 노출을 늘려준다고는 하는데, 수수료 부담은 훨씬 커졌습니다.

    [윤지훈/음식점 사장]
    "재료값, 수수료 다 빼고 한 2천 원 정도…그 안에서 인건비, 가스비를…많이 힘들죠. 주변에서도 많이 폐업하세요."

    여기에 배민은 다음 달부터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대해 배민 측은 경쟁사인 쿠팡이츠의 9.8%에 비해 낮은 수수료를 적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정희/중앙대 경제학과 교수]
    "배달료가 무료니까 좋지만 점점 이제 비용이 올라갈 가능성도 없지 않죠. 결국에는 돌아서 소비자에게 부담으로 갈 수 있다…"

    배달앱 3사의 독과점 구조에서 배달앱 수수료를 규제할 필요성이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MBC뉴스 박진주입니다.

    영상취재: 소정섭, 나경운 / 영상편집: 민경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