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박철현

급강하에 코피까지‥원인은 '여압 장치' 이상

급강하에 코피까지‥원인은 '여압 장치' 이상
입력 2024-06-24 20:03 | 수정 2024-06-24 21:10
재생목록
    ◀ 앵커 ▶

    지난 주말, 제주에서 대만으로 향하던 대한항공 항공기가 긴급 회항했는데요.

    기내 공기압을 조절하는 장치에 이상에 생겼기 때문이었는데, 회항 과정에서 기체 안팎의 기압 차를 낮추다가 일부 승객이 다치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국내 항공사를 대상으로 긴급 안전조사를 하기로 했습니다.

    박철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항공기 탑승객들이 긴장한 표정으로 줄에 매달린 산소호흡기를 입에 대고 있습니다.

    산소 부족으로 인한 호흡 곤란을 막기 위해섭니다.

    원인은 '여압 장치' 이상이었습니다.

    '여압 장치'는 항공기 안의 공기압을 일정하게 조절해 주는 장치로 작동되지 않으면 산소가 부족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대만으로 가던 이 항공기는 출발 50분 만에 해당 장치에 이상을 발견하고 긴급 회항했습니다.

    기체 안팎의 기압 차를 낮추려고 6천 미터를 급강하하면서, 승객 일부가 코피를 흘리거나, 고막 통증, 과호흡 등을 호소해 16명이 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국토부는 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해 블랙박스를 확인하고, 기계와 부품 제조 결함 여부를 확인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기계 결함 뿐 아니라, 이륙 전에 장치 점검을 소홀히 했을 가능성도 의심하고 있습니다.

    [A 대학교 항공운항학과 교수(음성변조)]
    "비행 이륙 전에 (여압 장치) 시스템이 가동하도록 입력을 하는 절차가 있는데 그때 그 절차 중에 하나를 건너뛰게 되면 현상으로 나타나게 되죠."

    지난 2019년 자카르타발 아시아나 항공기, 2022년 인천발 세부퍼시픽 항공기에서도 이같은 여압 장치 이상으로 인한 긴급 회항 사례가 있었습니다.

    지난 4월, 인천발 나리타행 에어프레미아 항공기 회항도 원인은 여압 장치 이상이었습니다.

    [국토부 관계자(음성변조)]
    "원인이 절차적인 건지 기계적인 건지 그거는 좀 종합적으로 판단해 봐야 돼요."

    국토부는 국내에서 항공기를 운항하는 전 항공사에 기체의 여압 장비 일체를 점검하라는 공문을 발송했습니다.

    또 최근 항공기 고장과 지연 운항이 잇따르자 본격적인 휴가철을 앞두고 국내 항공사를 대상으로 긴급 안전 조사를 하기로 했습니다.

    MBC뉴스 박철현입니다.

    영상편집: 민경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